사람들이 수학에 대해 가지고 있는 몇 가지 통념이 있다. 첫째, 수학을 하려면 논리적 사고가 필요하다. 둘째, 대다수는 수학을 잘 이해하지 못한다. 셋째, 위대한 수학자는 일반인과 완전히 다른 뇌를 장착하고 태어난다. 이들 통념은 모두 사실이 아니다. 수학의 세계에는 교과서에 나오는 공식들만 있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수학적 직관이라고 일컬어지는 ‘비공식 수학’은 천재의 전유물이 아니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완벽한 원을 머릿속으로 그려내는 추상화 능력은 복잡한 수학적 개념과 용어를 이해할 수 있는 밑바탕이다.
최근 출간된 <수학을 못한다는 착각>은 이처럼 ‘수학의 즐거움은 수학자 같은 소수의 천재만 누릴 수 있는 게 아니다’고 강조하는 책이다.
저자는 수학을 연구하고 가르쳐온 다비드 베시. 프랑스 파리고등사범학교에서 순수수학 박사 학위를 받은 베시는 미국 예일대와 모교에서 강의했다.
저자는 “진짜 수학은 우리 주변 세계에 대한 직관을 넓혀주는 비공식 수학”이라고 강조한다. 우리는 누구나 추상화 능력, 추론 능력, 직관 등을 갖추고 있고 이 능력들이야말로 수학 능력이라는 것이다. 수학은 배우는 것이 아니라 경험하는 것이라고 말하는 이 책을 읽다 보면 우리가 수학을 지금까지 배우고 가르쳐온 방식을 돌아보게 된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