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현지시간) 미국 재무부에서 열린 한-미 2+2 통상협의(Trade Consultation)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부터)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최상목 부총리,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기재부 제공]](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04/25/news-p.v1.20250425.c660534079cd483392a20ec104938296_P1.jpg)
한국과 미국이 관세와 관련해 관세 폐지를 목적으로 하는 '7월 패키지'(July Package)를 마련하는데 공감대를 이뤘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4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이뤄진 '2+2 관세협의'와 관련한 브리핑에서 이같이 말했다.
최 부총리는 “상호관세 유예가 종료되는 7월 8일 이전까지 패키지를 마련할 것과 양측의 관심사인 관세·비관세조치, 경제안보, 투자협력, 통화정책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평가했다.
최 부총리는 “협의의 출발점인 이번 회의를 통해 협의 과제(Scope)를 좁히고 논의 일정 공감대를 형성해 협의의 기본 틀인 '프레임워크'를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더불어 “한국의 정치일정과 통상 관련 법령, 국회와의 협력 필요성 등 협의에 있어 다양한 고려사항이 있음을 설명하고 미국 측의 이해를 요청했다”며 “이를 통해 서두르지 않으면서, 차분하고 질서있는 협의를 위한 양국 간 인식을 공유할 수 있었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한미간 관세 폐지, 산업협력 등을 둘러싼 포괄적 합의는 6·3 대선 이후 출범할 한국의 새 정부와 트럼프 행정부 사이에 이뤄질 가능성이 커졌다.
산업부와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실무협의를 개최하고 다음달 개최되는 APEC 통상장관회의에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와 추가적인 고위급 협상을 가질 계획이다.
최 부총리는 “우리 측은 미국의 주요 관심사인 무역·투자, 조선, 에너지 등 협력 의지와 비전을 소개하고 미국의 상호관세와 품목관세가 양국 간 경제협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다”며 “한국에 부과된 관세에 대한 면제와 예외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달했다”고 말했다. 특히 자동차 분야를 중점적으로 설명했다고 덧붙였다.
환율 정책에 대해서는 “기재부와 미국 재무부 간 별도로 논의해 나가기로 양국이 합의했다”며 “조만간 실무협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최다현 기자 da2109@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