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북한 관영매체인 조선중앙통신은 러시아 외무성의 초청에 따라 방러한 최 외무상이 27일(현지 시간)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푸틴 대통령을 예방했다고 보도했다.
통신에 따르면 최 외무상은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푸틴 대통령에게 보내는 ‘가장 뜨거운 동지적 인사’를 전달했으며, 이에 푸틴 대통령은 자신의 ‘따뜻한 인사’를 전해달라고 부탁했다.
통신은 두 사람이 “지난달 초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 사이의 뜻깊은 상봉에 대해 상기했다”면서 “조로(북러) 관계를 부단히 강화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앞으로의 많은 사업과 관련한 훌륭한 담화를 진행했다”고 전했다. 다만 구체적인 사업들에 대해 설명하진 않았다.러시아 타스통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최 외무상에게 지난달 3일 중국의 전승절 80주년 열병식 계기 김 위원장과 만났다고 언급하며 “베이징에서 양국 관계와 발전 전망에 대해 자세히 논의했다. 모든 것이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최 외무상은 “베이징 회담이 따뜻한 분위기에서 열렸다고 들었다”고 화답했다.
또한 “(이 자리에서 북한 측은) 우크라이나 분쟁의 근원을 제거하고 특수 군사작전의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취하는 러시아 측의 모든 조치에 대한 변함없는 공감과 지지를 표시했다”고 전했다.
러시아 외무부가 공개한 영상에 따르면 최 외무상은 라브로프 장관에게 베이징에서 열린 양국 간 정상회담이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보다 새로운 높은 관계로 도약시킨 일”이라고 말했다. 양측은 지난해 6월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북러조약)을 체결한 바 있다.
러 외무부는 성명을 통해 “양측은 한반도, 동북아시아, 그리고 전 세계 긴장 고조의 주요 원인이 미국과 동맹국의 공격적인 정책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이어 “러시아 측은 북한 지도부가 자국의 주권을 수호하고 안보를 보장하기 위해 취한 조치에 전적인 지지를 표명했다”고 전했다.
이번 최 외무상의 방러는 트럼프 대통령이 방한을 앞두고 김 위원장과의 대화 의지를 강하게 드러낸 가운데 이뤄졌다. 일각에서는 김 위원장의 핵심 수행원인 최 외무상이 방러하면서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 간 ‘깜짝 회동’ 가능성이 낮아졌다는 분석도 나왔다.이혜원 기자 hyewon@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

12 hours ago
1




![국회 회의 중 '고릴라 그림' 삼매경…반복되는 '딴짓' [이슈+]](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01.42192724.1.jpg)




![엄지성 이어 조규성·이한범도 포스텍 울렸다! 미트윌란, 노팅엄 원정서 3-2 승리…포스텍의 노팅엄, ‘패패무무패패’ 멸망 [유로파리그]](https://pimg.mk.co.kr/news/cms/202510/03/news-p.v1.20251003.f2964094c0e0447f84af28c5f48d0e9a_R.jp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