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도가 올해 태안 석탄화력발전소 1기 폐지(예정)를 시작으로 2028년 하반기 블루수소 생산 공장 가동을 목표로 구축에 들어간다.
블루수소는 고온의 수증기를 천연가스 주성분인 메탄과 혼합·반응(개질)시켜 반응기에서 추출해 생산한다. 탄소포집저장활용(CCSU) 기술을 활용해 그레이 수소 대비 화석연료 공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₂?) 배출량이 적다.
전형식 충남도 정무부지사는 23일 가세로 태안군수, 송민호 한국가스기술공사 본부장, 송민섭 미래앤서해에너지 대표, 이정빈 원일티엔아이 대표, 박광시 제이플엔지니어링 대표 등과 태안 CCSU형 블루 수소 생산기지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태안 CCSU형 블루 수소생산기지는 석탄화력발전소 폐지에 따른 대체 산업 육성의 목적으로 친환경 에너지 전환을 통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건립한다. 태안엔 현재 10기의 화력발전소가 가동 중이다.
이번 블루수소 생산 기지 위치는 태안읍 인평리 일원이다. 1만2397㎡ 부지에 2026년~2028년 3년간 170억원(국비 67.5억원, 지방비 67.5억원, 민간 35억원)을 투입해 2028년 하반기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태안 CCSU형 블루 수소생산기지에선 천연가스 수증기 개질법으로 1일 1톤, 연간 360톤의 블루 수소를 생산해 태안 지역 수소 차량 등에 공급한다. 특히, 블루 수소 공급 단가는 ㎏당 7000원을 예상한다. 360톤의 블루 수소는 수소승용차 6만대가 1회 완충(1대당 6㎏)할 수 있는 규모다.
태안 CCSU형 블루 수소생산기지는 특히 천연가스 개질 과정에서 발생하는 CO₂ 95% 이상을 포집하고 이를 고순도 탄산칼슘으로 광물화해 제지, 고무, 플라스틱 가공 등 업체에 원부자재로 판매할 계획이다.
구축·가동 이후에는 수소도시 조성 사업과 연계해 블루 수소 생산량을 1일 2톤으로 확장하는 등 사업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도는 태안 CCUS형 블루수소 생산기지가 가동하면 △탄소중립 실현 뒷받침·신성장동력 확보 △태안 수소도시(조성 예정) 연계 수소충전소 구축·모빌리티 보급 활성화 △화석연료 의존 절감과 대기 오염물질 배출 절감 △지역경제 활성화·일자리 창출 등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도와 태안군은 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각종 행정 절차를 지원한다. 한국가스기술공사는 이번 사업을 총괄해 추진한다.
원일티엔아이는 수소 추출 설비와 수소 승압 설비를 구축하고, 제이플엔지니어링은 CCSU 설비와 자원화 시설 구축을 맡는다. 미래엔서해에너지는 안정적인 수소 공급을 위한 인프라 설치와 안전 관리에 힘쓴다.
전형식 부지사는 “청정수소 생태계 조성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에너지 전환의 필수 요소”라며 “이번 사업 추진을 계기로, 석탄화력발전을 폐지하는 태안을 수소산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1월 기준 국내 61기 중 도내에는 29기의 석탄화력발전소가 가동 중이며, 올해 태안 1기가 폐지될 예정이다.
안수민 기자 smah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