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근길 리추얼이자 동네의 소셜허브…영국인들에게 펍은 위안의 공간이다

5 days ago 5

런던에 사는 영국인 친구 제임스(James)는 이렇게 말했다. 그것도 아주 진지하게.

"우리가 집을 구할 때 제일 중요했던 게 뭔지 알아? 집 근처에 펍이 있느냐. 그리고 집 앞에 공원이 있느냐. 이 두 가지였어. 두 가지 조건을 모두 갖춘 집을 구하는 게 목표였지."

그의 집은 하이드 파크 근처, 빅토리아풍의 흰색 5층 건물이 줄지어 선 고급 주택 단지에 있었다. 그는 집값이나 구조, 크기를 고려하면서도, 집에서 도보 5분 내 펍이 있는 곳을 추렸다고 했다. 펍과 하이드 파크가 동급이라니, 영국인들에게 펍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퇴근길 리추얼이자 동네의 소셜허브…영국인들에게 펍은 위안의 공간이다

하이드 파크

하이드 파크

펍과 공원. 한국인에겐 ‘마트’와 ‘역세권’만큼 중요한 키워드다. 직접 곁에서 본 영국인들의 삶 속 펍은, 단순한 술집이 아니었다. 그들이 거친 삶을 버티는 유연한 방법, 사람들과 이야기를 함께 써온 역사적 공간이었다. 흑사병, 런던 대화재, 독일의 대공습과 같은 재앙 속에서도 펍은 살아남았고, 지금은 영국을 상징하는 특별한 곳이 됐다.

그들 삶에 펍이 얼마나 특별한지, 현대 영문학의 기틀을 마련한 사무엘 존슨 박사는 이렇게 말했다. "아니, 선생. 인간이 만들어낸 것 중에 좋은 술집만큼 많은 행복을 주는 것은 아직 없습니다. (No, sir; there is nothing which has yet been contrived by man, by which so much happiness is produced as by a good Tavern.)"

펍 문화는 일조량이 적고 바람이 거칠게 불며, 하루에 4계절을 모두 경험할 정도로 변덕스러운 영국의 자연환경을 이겨내기 위한 ‘묘책’이었다.

퇴근길 리추얼, 동네 소셜 허브

늦은 오후, 퇴근 시간쯤이면 주요 펍들은 붐비기 시작한다. 영국인들은 일을 마치고 집에 가기 전, 펍에 들러 맥주나 음료를 마시며 이웃이나 친구와 가볍게 수다를 떤다. 자리에 앉는 사람보다 서서 마시는 사람이 많다. 술집 밖 골목 쪽 창틀에도 소소한 선반을 마련해 뒀다. 술집 밖 골목까지 맥주 파인트 잔을 들고 약간 달아오른 얼굴로 이야기하는 사람들로 왁자지껄하다.

맥주는 분위기를 거들 뿐. 그들이 진짜 원하는 것은 ‘대화’다. 그렇게 하루 동안 쌓인 스트레스를 유쾌한 분위기 속에서 날려버리고, 집으로 향한다. 펍에 들르는 건 일종의 퇴근길 의식이자 정서적 교감을 하고, 휴식하는 시간이다. 영국인들은 낯선 사람과 어떤 대화도 가능한 사람들인데, 펍에서는 유난히 활발하다. 동네 모퉁이 곳곳에 자리 잡은 펍은 ‘오프라인 소셜 허브’로 기능한다.

하이드 파크 앞 '더 빅토리아 펍' 내부 / 사진. ⓒ조민선

하이드 파크 앞 '더 빅토리아 펍' 내부 / 사진. ⓒ조민선

술자리라 하면 한국인들은 흔히 거하게 차린 술상을 떠올린다. '부어라, 마셔라' 하는 와중에도 위계와 예의는 눈치껏 챙겨야 한다. 이윽고 2차, 3차를 거치며 만취해서 늦은 밤에야 겨우 집에 들어간다. 이에 비해 영국의 펍은 가볍다. 한낮에도 직장인들이 맥주 한 잔, 와인 한 잔을 놓고 서류를 검토하는 모습이 흔하다. 많은 ‘비즈니스’가 이뤄지는 한국의 술 문화와 비교하면 훨씬 캐주얼하다. 안주가 없고, 밤낮이 없으며, 만취도 (거의) 없는 가벼운 놀이. 영국인이 일상의 무게를 덜어내는 휴식 문화다.

누구에게나 열린, 퍼블릭 하우스(public house)

펍의 개념은 2000년 전 고대 로마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로마인들은 공공 목욕탕에서 술을 제공했고, 사람들은 그곳에서 술을 마시며 교류했다. 그러다 선술집, 여관, 현재 펍의 형태로 발전했다.

펍 간판에 그림이 그려져 있는데, 이는 문맹률이 높았던 시대상을 반영한다. Lamb & Flag(양과 깃발), 3 Kings' Head(세 왕의 머리)처럼 우스꽝스러운 작명은 문자를 모르는 사람도 그림으로 펍을 찾을 수 있게 도왔다.

하이드 파크 앞 '더 빅토리아 펍' / 사진. ⓒ조민선

하이드 파크 앞 '더 빅토리아 펍' / 사진. ⓒ조민선

‘펍(pub)’이라는 명칭은 18세기 빅토리아 시대에 본격 등장했다. 퍼블릭 하우스(public house)의 줄임말로, 펍은 누구나 들를 수 있는 열린 공간이었다. 17~18세기에는 격렬한 정치 토론이 이뤄지기도 했고, 산업혁명 시기에는 노동자들이 지친 하루를 마무리하려 펍으로 향했다.

20세기 이후 펍은 보다 대중적인 공간으로 확장됐다. 친구와 직장 동료와, 때로는 가족과 함께. 아니면 혼자 와서 커피를 마시고, 책을 읽는 사람도 있다. 낮에는 아이들과 햄버거나 피시앤칩스를 먹기도 하고, 일요일 교회 후 들르는 선데이 로스트 맛집도 된다. 축구 관람, 음악회, 코미디 클럽, 퀴즈게임, 파티 등이 열리기도 하는 복합 공간. 영국의 펍은 카페, 식당, 술집의 개념을 자유롭게 넘나드는, 사실상 뭐든 가능한 공간이다.

영국인의 ‘위안의 공간’

“선술집의 의자는 행복의 왕좌요, 그 문을 들어서는 순간 걱정과 외로움에서 해방된다.” 존슨 박사의 말처럼, 펍은 영국인들에게 단순한 술집이 아닌, 마음의 안식처다. 매년 런던을 찾는 2,000만 명의 방문객 중 상당수가 이 특별한 분위기를 경험하기 위해 펍을 찾는다. 바로 펍이 영국이고 영국은 펍이기 때문이다.

영국인들은 실제로 펍을 제2, 제3의 또 다른 집으로 인식한다. 펍의 내부 인테리어도 이를 반영해, 최대한 집처럼 꾸민다. 내부는 목재 소재의 가구, 카펫과 벽난로로 채워져 있다. 벽면 곳곳에는 사진이나 그림 액자가 걸려 있고 아늑한 주황빛 조명이 아늑함을 더한다.

퇴근길 리추얼이자 동네의 소셜허브…영국인들에게 펍은 위안의 공간이다

스탠딩, 셀프 주문, 노 팁, 클로징 벨

펍에는 독특한 문화가 있다. 가장 대표적인 건 셀프 주문. 주문은 바(bar)에서 직접 해야 한다. 술이나 음료를 제조하는 직원이 바에 상주하고, 웨이터는 없다. 자리에 앉아서 직원을 부르다간 따가운 눈총을 받을 수 있다. 자리가 없다고 당황할 필요도 없다. 오히려 서서 마시는 문화가 일반적이다. ‘라운드(round)’ 문화도 빼놓을 수 없다. 함께 간 일행과 술이나 음료를 돌아가면서 사는 것. 내가 한 번 맥주를 사면, 그다음엔 다른 사람이 결제하는 식이다. 때로는 바 직원에게 음료를 사주는 것으로 팁 문화를 대신한다.

펍에는 또 커다란 옛날식 종이 매달려 있는데, 클로징 전 라스트 오더를 알리는 데 사용된다. 대부분 펍은 11시 클로징, 종은 10시 40분이나 10시 45분쯤 울린다. ‘펍 크롤링(pub crawling)’이라는 용어도 있다. 하루에 여러 펍을 방문하며 각기 다른 분위기와 술을 경험하다 보면, 기어서 귀가하게 된다는 우스갯소리에서 유래한 말이다.

찰스 디킨스부터 톨킨까지, 문학과 전통이 살아 있는 공간

런던에만 3,500개 이상의 펍이 존재한다. 많은 영국인이 펍의 역사와 전통을 이어가려 하고, 이 독특한 공간을 경험하기 위해 전 세계 관광객들이 펍을 찾는다. 영국 여행을 가서 펍에 안 들르면 그건 명백한 실수다. 펍에는 영국의 역사가 화석처럼 남아, 많은 이야기를 들려준다.

가장 유명한 곳은 ‘디 올드 체셔 치즈(The Old Cheshire Cheese)’. 영국 언론의 중심지인 플리트 스트리트(Fleet Street)에 위치한 펍으로, 1667년 문을 열었다. 1666년 런던 대화재 이후 재건되었고, 자연광이 거의 없는 어두운 내부, 구불구불 미로 같은 공간이 특징이다. 지하의 저장고는 13세기, 나무 패널은 19세기 유산이다.

디 올드 체셔 치즈(The Old Cheshire Cheese) / 사진출처. 디 올드 체셔 치즈 홈페이지

디 올드 체셔 치즈(The Old Cheshire Cheese) / 사진출처. 디 올드 체셔 치즈 홈페이지

디 올드 체셔 치즈(The-Old-Cheshire-Cheese) 안주 / 사진. ⓒ조민선

디 올드 체셔 치즈(The-Old-Cheshire-Cheese) 안주 / 사진. ⓒ조민선

찰스 디킨스, G.K. 체스터튼, 마크 트웨인, 아서 코난 도일 등 문학 거장들이 들렀던 곳으로 유명하다. 영어 사전을 처음 편찬했던 사무엘 존슨 박사의 아지트로도 알려져 있다. 디킨스의 소설 ‘두 도시 이야기’에는 주인공들이 플리트 스트리트의 여관에서 저녁 식사를 하는 장면이 등장하기도 한다.

템스강변의 ‘더 메이플라워 펍(The Mayflower Pub)’은 1620년 청교도들을 태우고 미국으로 떠난 메이플라워호가 출항한 자리 위에 세워진 펍. 내부는 실제 메이플라워호에서 나온 물품들로 꾸며져, 역사 속 한 장면에 있는 듯한 특별한 체험을 할 수 있다.

런던 소호에 위치한 ‘셜록 홈스 펍(The Sherlock Holmes Pub)’은 아서 코넌 도일의 추리 소설 '셜록 홈스' 팬이라면 꼭 들러야 할 곳. 영국 드라마 '셜록'의 인기도 한몫해, 런던에서 가장 많은 관광객이 찾는 펍 중 하나로 꼽힌다. 이 펍은 소설 제목이나 인물을 그대로 메뉴에 차용해 재미를 더했다.

셜록 홈스 펍(he Sherlock Holmes Pub) / 사진출처. 위키피디아

셜록 홈스 펍(he Sherlock Holmes Pub) / 사진출처. 위키피디아

영국의 유명 인사 이름을 내건 펍들도 많은데, 셰익스피어와 관련된 펍만 영국 내 40개가 넘는다. 빅토리아 여왕도 펍 이름으로 많이 등장한다.

옥스퍼드를 대표하는 펍은 ‘디 이글 앤 차일드 펍(The Eagle and Child Pub)’. 톨킨(J.R.R. Tolkien), C.S. 루이스(C.S. Lewis) 등이 모여 격렬한 토론을 벌이거나, 그들의 저서를 집필한 공간으로 알려졌다. 이곳에서 ‘반지의 제왕’과 ‘나니아 연대기’가 태동했다.

런던=조민선 아르떼 객원기자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