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의 전화 접속 시대

16 hours ago 4

  • 1990년대 인터넷 초창기처럼, AI 혁명도 초기 단계의 혼란과 과도한 기대가 공존하는 시기로 묘사됨
  • AI가 일자리를 대체할지 창출할지에 대한 논쟁이 과거 인터넷 논쟁과 유사하게 양극화된 상태
  • Jevons 역설과 산업별 수요·생산성 경쟁을 통해 자동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산업별로 상이한 결과 제시
  • AI 투자 열풍이 닷컴 버블과 유사한 과열 양상을 보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인프라 구축 효과가 남을 가능성 강조
  • AI가 새로운 직업군과 산업을 창출하며,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의미조차 변할 만큼 노동 구조 전환이 진행 중임

인터넷 초창기와 AI 시대의 유사성

  • 1995년 인터넷 보급 초기, 웹사이트는 2000여 개에 불과했고 대부분 단순한 텍스트 기반 구조였음
    • 이미지 로딩에 수 분이 걸리고, 온라인 결제는 불신받았으며 “인터넷 낯선 이를 믿지 말라”는 조언이 일반적이었음
  • 당시 낙관론자는 전자상거래와 가상현실의 급성장을 예견했고, 비관론자는 인터넷을 일시적 유행으로 봄
  • 25년 후, 사람들은 소셜미디어로 뉴스 소비, 앱으로 연애, 공유경제 서비스 이용 등 예상을 뛰어넘는 변화를 경험
  • 글은 “지금의 AI 시대가 1995년의 인터넷과 같다”고 비유하며, 양극단의 예측이 모두 부분적으로만 옳다고 지적

AI와 고용: 예측과 현실

  • Geoffrey Hinton은 2016년 AI가 방사선 전문의를 대체할 것이라 경고했으나, 실제로는 해당 직종이 성장세를 보임
    • 2025년 미국 방사선과 레지던시 모집은 1,208명으로 전년 대비 4% 증가, 평균 연봉은 52만 달러로 2015년 대비 48% 상승
  • 연구자 Deena Mousa는 실패 원인으로 현실 복잡성, 규제, Jevons 역설을 제시
    • AI 효율 향상이 오히려 진단 수요 증가를 유발해 고용이 늘어나는 현상 설명
  • Satya Nadella와 Aaron Levie 등도 Jevons 역설을 언급하며, AI 적용이 수요를 확대한다고 평가
  • 그러나 Andrej Karpathy는 단순 반복 업무가 단기적으로 더 큰 변화를 겪을 것이라 지적

산업별 자동화와 고용의 상관관계

  • 경제학자 James Bessen의 연구에 따르면, 1800~2000년 섬유·철강·자동차 산업의 고용 변화는 생산성과 수요의 균형에 따라 달라짐
    • 섬유·철강은 자동화 후 한 세기 동안 고용 증가 후 급감, 자동차는 수요 지속으로 고용 유지
  • 초기에는 생산성 향상으로 가격이 하락해 대중 수요 폭발, 이후 수요 포화 시점부터 고용 감소
  • 자동차 산업은 아직 세계적 수요가 포화되지 않아 고용이 유지됨
  • 소프트웨어 산업은 미충족 수요가 많아, AI 자동화가 새로운 프로젝트와 시장을 창출할 여지가 큼
    • Amazon 사례에서 수천 개의 아이디어가 개발자 부족으로 미실현된 점을 언급

AI 투자 열풍과 버블 논의

  • 1990년대 닷컴 버블처럼, 현재 AI 산업도 과열된 투자와 과도한 기업 가치 평가가 진행 중
    • 예: 전 OpenAI 임원이 설립한 스타트업이 제품 없이 100억 달러 가치 평가로 20억 달러 투자 유치
  • 그러나 당시 닷컴 버블이 인터넷 인프라 구축의 기반이 되었듯, 이번 AI 투자도 데이터센터·반도체·전력 인프라로 이어짐
    • Microsoft, Google, Meta, Amazon 등 하이퍼스케일러의 연간 투자액은 총 5,000억 달러 규모
  • 분석가 Azeem Azhar는 5가지 지표(경제·산업·수익·평가·자본 안정성) 로 AI 버블 여부를 평가
    • 현재는 수요 주도형 호황 단계로, 일부 지표가 악화될 경우 버블 전환 가능성 존재
  • OpenAI의 급성장은 실제 수요를 보여주지만, 닷컴 시절 Pets.com과 유사한 단기 과열 위험도 병존

AI가 불러올 산업·직업 변화

  • AI는 비용 절감으로 새로운 시장 세그먼트를 개척할 가능성
    • 예: AI로 저비용 맞춤형 소프트웨어를 제작해 중소기업·비영리단체도 활용 가능
  • 예측 가능한 변화는 있으나, 구체적 형태는 불확실
    • 1995년에는 인플루언서나 공유숙박 같은 직업을 상상하지 못했듯, 2050년의 인기 직업은 아직 존재하지 않음
  • 직업 정의의 변화가 예상됨
    • 인터넷이 기자의 역할을 블로거·유튜버로 확장시켰듯, AI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개념을 재구성
    • AI를 활용해 자체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식당 주인은 자신을 개발자로 부르지 않음
  • 결론적으로, AI 시대는 과거 인터넷처럼 초기 과열과 혁신이 공존하는 전화 접속기 단계이며,
    산업별 수요와 자동화의 균형이 향후 고용과 경제 구조를 결정할 핵심 요인임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