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손잡은 LG유플러스…"자율 네트워크 시대 선도할 것"

8 hours ago 3

AI 기반 NW 소프트웨어 자동 설치 기술 개발
설치 소요 시간 80% 단축·수작업 오류 최소화
기술 장벽 낮춰 중소 장비회사 파트너사 도움
LG유플, AI 에이전트 기반 기술 확보할 예정

LG유플러스 직원들이 에이전틱 AI를 활용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네트워크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있다. 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 직원들이 에이전틱 AI를 활용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네트워크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있다. 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가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손잡고 에이전틱 인공지능(AI)를 활용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네트워크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AI를 활용해 총 설치 소요시간을 기존 대비 80% 가량 단축하고 수작업에 발생하는 오류도 최소화할 수 있게 됐다. LG유플러스는 AWS와의 협업을 시작으로 다양한 AI 에이전트 기반 기술을 확보해 ‘자율 네트워크’ 시대를 선도할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4일 AWS와 함께 에이전틱 AI를 활용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설치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에이전틱 AI는 단순 응답을 넘어 스스로 추론하고 판단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네트워크 소프트웨어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실제 네트워크 장비처럼 동작할 수 있도록 코드로 구현된 일종의 가상 장비다. 양사가 새롭게 개발한 기술은 네트워크 장비 소프트웨어를 에이전틱 AI가 자동으로 설치하는 것이 핵심이다.

양사는 여러 AI 에이전트가 협력해 복잡한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설치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AWS가 제공하는 '아마존 배드록'과 '스트랜드 에이전트 SDK'를 활용했다. 이를 통해 개발 및 반복적인 테스트에 드는 시간을 단축하고 다양한 AI 동작 시나리오를 빠르게 검증했다.

양사는 신기술에 에이전틱 AI를 활용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의 설계 문서를 사전에 학습시켰다. 그 결과 사람의 개입 없이도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부터 네트워크 장비의 파라미터 수집·설정·설치·문제 해결까지 전체 과정을 알아서 수행한다. 기존 영역별 전문 엔지니어가 모여 수동으로 장비를 설치하는 과정을 AI가 대체하기 때문에 총소요 시간을 크게 단축한 것이 특징이다. 동시에 수작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도 최소화할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이 기술이 중소 회사의 경쟁력 강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국내 관련 중소 회사의 경우 글로벌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객사에 기술 지원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이번 신기술을 활용하면 기술 장벽이 대폭 낮춰질 수 있다. 그만큼 다양한 파트너사를 발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

양사는 전 세계적으로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반 인프라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는 배경을 고려할 때 새롭게 개발한 기술의 효용이 클 것으로 기대했다. 실제로 글로벌 시장은 네트워크의 지능화 및 자율화를 실현하기 위해 클라우드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있다. AI를 활용한 자율 운영 체제 전환도 가속되는 상황이다.

향후 LG유플러스는 이번 기술 이외에도 다양한 AI 에이전트 기반 기술을 확보해 ‘자율 네트워크’ 시대의 리더십을 사로잡을 계획을 세웠다. 자율 네트워크는 AI가 네트워크 장비 설치부터 오류 개선까지 모두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상헌 LG유플러스 NW선행개발담당은 “자율 네트워크의 핵심 기술인 에이전틱 AI를 활용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고객 품질 혁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고객에 대한 깊은 이해와 높은 기술력으로 고객에게 가장 필요한 핵심 미래 네트워크 기술을 확보하여 밝고 지속 가능한 세상을 만들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수빈 한경닷컴 기자 waterbean@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