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R]빅파마로 가는 길

22 hours ago 1

비즈니스 리더를 위한 경영저널 DBR(동아비즈니스리뷰) 2025년 4월 2호(415호)의 주요 기사를 소개합니다.

비즈니스 리더를 위한 경영저널 DBR(동아비즈니스리뷰) 2025년 4월 2호(415호)의 주요 기사를 소개합니다.

빅파마로 가는 길


블록버스터급 약품을 앞세워 오랫동안 빅파마(글로벌 제약사)가 독과점해 온 글로벌 제약산업에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다.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이 빅파마로 도약할 기회가 열린 셈이다. 빅파마들의 특허가 만료되면서 매출이 급감하는 ‘특허 절벽’이 반복되는 가운데 과거보다 신약 개발을 위한 비용이 증가한 데 반해 임상 성공률은 떨어졌다. 이에 대응해 빅파마들이 외부의 기술을 적극 도입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실제로 2020년 빅파마가 승인받은 약물의 65% 이상이 외부에서 기술을 가져온 물질이거나 인수합병을 통해 확보한 물질이다. 이처럼 글로벌 제약산업의 구조가 재편되면서 글로벌 기관투자가는 물론이고 벤처캐피털 역시 우리나라의 바이오테크에 주목하는 추세다.

경영진이 이끄는 내부통제


금융시장에서 각종 사고가 터지며 기존 내부통제 시스템의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디지털화, 글로벌화 등에 따라 금융 상품이 점점 복잡해지면서 새로운 유형의 리스크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내부통제 시스템은 정적이고 표준화된 방식을 따르며 새로운 리스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 내부통제를 단지 준법을 위한 시스템으로 치부하는 시각에서 벗어나 지속 가능성을 위한 전략적 자산으로 여겨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특히 경영진의 리더십이 강력하고 일관되게 유지될 때 내부통제와 리스크 관리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뤄질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경영진은 윤리적 리더십을 표방하는 데 그치지 않고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해야 한다.

DBR >

구독

이런 구독물도 추천합니다!

  • 주성하의 ‘北토크’

    주성하의 ‘北토크’

  • 사설

  • 정용관 칼럼

    정용관 칼럼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