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3월 무역적자 ‘사상 최대’ 충격...상호관세 발표 앞두고 수입 급증

3 days ago 9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규모 관세 발표에 대비하여 기업들이 수입품을 비축하면서 올해 3월 미국의 상품 무역적자가 사상 최대치인 1620억 달러에 달했다.

이로 인해 3월 상품 수입은 3430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31% 급증했으며, 수출은 1810억 달러로 7% 증가에 그쳤다.

이에 따라 주요 투자은행들은 미국의 1분기 GDP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자동차·소비재 등 비축 늘며
월별 수입 1년새 30% 급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규모 관세 발표에 대비해 기업들이 수입품을 미리 비축하면서 올해 3월 미국 상품 무역적자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29일(현지시간) 미국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3월 상품 무역적자는 1620억 달러(약 231조4000억원)를 기록하며 전년 동월(930억 달러)대비 75% 급증했다. 이는 1989년 관련 수치 집계를 시작한 이후 최대 수준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 상호관세를 발표한다고 예고한 가운데 기업들이 수입품 비축에 나선 탓으로 풀이된다.

이번 무역적자 증가폭의 대부분은 자동차를 비롯해 산업재, 소비재 등 비축 가능한 수입품이 증가한 데서 기인한다.

미국의 3월 상품 수입은 3430억 달러로 전년 동월(2620억 달러) 대비 무려 31% 급증하면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소비재 수입이 27.5%나 급증했고, 자동차와 자본재 수입도 큰 폭으로 늘었다.

반면 3월 상품 수출은 1810억 달러를 기록해 1년 새 7% 증가에 그쳤다.

수입이 예상보다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국내총생산(GDP) 전망도 줄줄이 하향되고 있다. 모건스탠리와 골드만삭스, JP모건은 30일 발표 예정인 1분기 GDP 예측치를 낮춰 잡았다.

모건스탠리는 “상호관세에 대비한 수입 증가폭이 예상보다 훨씬 컸다”면서 올해 1분기 연율 GDP 전망치를 0%에서 -1.4%로 낮췄다.

골드만삭스는 -0.2%에서 -0.8%로, JP모건은 0%에서 -1.75%로 각각 전망치를 하향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