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고용 서프라이즈는 정부채용 급증 '착시'

7 hour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난달 미국 고용시장에서 공교육 부문 일자리가 급증하며 전체 고용 호황을 이끌었으나, 민간부문은 여전히 악화되고 있다.

6월 비농업 채용 인원은 14만7000명으로 예상을 크게 웃돌았지만, 민간 고용은 7만4000명 증가에 그쳐 작년 10월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공공부문 일자리 증가가 민간 노동 수요 둔화를 가리고 있다고 우려하며, 고용 시장의 실질적인 둔화를 지적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지난달 7만3천명…10배 증가
머스크 퇴장에 공공고용 늘어
민간은 지난해 10월이후 최저

지난달 미국 고용시장이 예상을 뛰어넘는 '깜짝 호황'을 기록한 것은 공교육 부문 일자리가 급증한 영향으로 민간부문 고용 악화는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미국의 6월 일자리 증가폭이 전망치를 상회했지만 공교육 부문에서 이례적으로 고용이 급증해 다른 분야 둔화세를 가린 결과"라고 지적했다.

지난달 비농업 채용 인원은 14만7000명 늘어 시장이 예측한 11만명을 크게 웃돌았다. 실업률도 4.1%로 전달보다 떨어진 것은 물론 시장 추정치인 4.3%를 밑돌았다. 경기 위축과 관세정책 여파에도 탄탄한 고용 상황을 나타내며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를 인하하는 시기도 지연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고용시장이 호황을 보인 것은 지난달 정부부문 일자리가 7만3000개 증가하며 전달(7000개)에 비해 10배 넘게 늘었기 때문이다. 바클레이스는 "공공부문 인력 감축을 주도했던 정부효율부(DOGE)가 일론 머스크 퇴장과 함께 동력을 상실하면서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보류했던 채용을 대거 늘린 탓"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지난달 민간 고용은 7만4000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작년 10월 이후 최저 수준이다.

새뮤얼 톰스 판테온 매크로이코노믹스 이코노미스트는 "교육부문의 고용 증가를 제외하면 민간 노동 수요는 둔화되고 있다"며 "관세 인상과 긴축적 통화정책, 무역전쟁 심화 우려가 노동 수요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로 공공 일자리 착시를 걷어내면 고용시장 둔화가 감지된다. 2주 이상 실업수당을 신청한 '계속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지난달 195만4000건으로 팬데믹 기간인 2021년 11월 이후 가장 많았다.

[뉴욕 임성현 특파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