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 올려도 문의 빗발쳐요”…세종시 전세시장 42개월 만에 ‘집주인 우위’

6 hours ago 3

경제

“가격 올려도 문의 빗발쳐요”…세종시 전세시장 42개월 만에 ‘집주인 우위’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행정수도 이전 이슈로 세종시의 아파트 매맷값이 상승하고 전세 시장이 집주인 우위로 전환되었다.

세종시 전세수급지수는 42개월 만에 100을 초과하며, 이는 전세 공급 부족을 나타내고 있다.

전세 물량은 감소 추세에 있으며, 공급 감소가 전셋값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세종시 다정동 일대 아파트 전경 [사진 = 연합뉴스]

세종시 다정동 일대 아파트 전경 [사진 = 연합뉴스]

행정수도 이전 이슈로 최근 세종시의 아파트 매맷값이 상승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전세도 집주인 우위 시장으로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전세수급동향 자료에 따르면 이달 5일 기준 세종시 전세수급지수는 102.1으로, 2021년 11월 둘째주 이후 42개월 만에 100선 위로 올라섰다.

전세수급지수는 100을 초과할수록 전세 공급 부족을, 100 이하로 내려갈수록 전세 공급 과잉을 나타낸다.

세종시 전세수급지수는 최근 2년여간 80~90선을 오르 내렸으나, 지난달 셋째주 93.7에서 넷째주 98.7로 뛰더니 이달 들어 100을 넘어섰다. 이는 시장이 집주인 중심으로 바뀌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세종시 전세가격이 상승하면서 물건은 감소 추세다. 지난 13일 기준 세종시 전세 물량은 1039건(아실 자료)으로, 한달 전(1143건)보다 100여건 줄었다. 올해 1월 1일(1608건)와 비교하면 감소폭(-35%)은 더욱 확연하다.

부동산원의 세종시 전세가격지수는 지난달 둘째주 0.05% 오르며 반등한 것을 시작으로 셋째주 0.03%, 넷째주 0.12%, 이달 첫째주 0.14% 등 상승폭을 확대하고 있다.

이같은 전셋값 상승에 대해 업계 전문가들은 공급 감소와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갭투자자는 전세금을 더 높게 받으려고 하기 때문에 매매가 늘어나면 전셋값이 오르는 경향이 있다”면서 “세종시의 주택 공급이 사실상 마무리되며 공급이 급감한 것도 원인으로 지목된다”고 짚었다.

실제 아실 자료를 보면 올해 세종시 아파트 입주 물량은 1035가구로, 적정 수요(1959가구)의 절반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