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담이 서늘하다"…美 전문가도 우려한 '동맹 때리기'

9 hours ago 2

입력2025.07.08 07:37 수정2025.07.08 07:37

웬디 커틀러/사진=뉴스1

웬디 커틀러/사진=뉴스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 25% 상호관세 협상 의지를 밝힌 서한을 보낸 것을 두고 "한국 차(車)에 대한 관세 완화를 수용하지 않겠다는 걸 시사한다"는 평가가 나왔다.

미국무역대표부(USTR) 부대표 출신인 웬디 커틀러 아시아소사이어티정책연구소(ASPI) 부회장은 7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보낸 서한 내용이 공개된 후 "대통령이 우리의 가장 긴밀한 두 동맹인 일본과 한국에 25% 관세 인상을 발표한 게 유감"이라고 밝혔다.

커틀러 부회장은 "이 발표는 다른 나라들의 간담을 서늘하게 하는 메시지"라며 "미국이 한일 양국의 최우선순위인 자동차 관세를 포함한 '무역확장법 232조' 품목별 관세의 완화는 수용하지 않을 것을 시사한다"고 평했다.

그러면서 "실망스러운 소식이지만 게임이 끝났다는 의미는 아니다"며 "추가 관세 인상이 발효하는 8월 1일까지, 앞으로 진행될 협상에서 돌파구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서한을 통해 당초 7월 9일부터 부과될 예정이었던 상호관세 부과 시점을 8월 1일로 연기했다. 그는 협상을 통해 상호관세율 조정 가능성을 시사하면서도 상호관세는 품목별 관세와 '별도'라는 입장을 밝혔다.

그동안 한국과 일본은 트럼프 행정부와의 협상에서 국가별 상호관세뿐만 아니라 대미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와 자동차부품에 부과된 25% 관세를 최소화하는 데 집중했다.

커틀러 부회장은 한국과 일본이 미국의 중요한 경제협력 파트너임을 강조했다. "양국은 경제 안보 현안에서 긴밀한 파트너였다"며 "조선, 반도체, 핵심 광물과 에너지 협력 등의 우선순위 사안에서 미국에 제공할 것이 많다"고 했다.

다만 한국의 경우 "자유무역협정(FTA) 파트너로서 미국에서 수입하는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들이 거의 모두 '0'이라서 고관세를 부과하는 인도나 베트남보다 미국에 제안할 게 적다"며 "한국은 새 정부가 막 들어섰기 때문에 대화를 준비할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