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약금 당장 보낼게요"…부동산 대책 앞두고 중개업소 '들썩'

2 weeks ago 3

입력2025.10.14 17:22 수정2025.10.14 17:30

정부의 추가 부동산 대책 발표 소식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14일 서울 성동구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에 매물 안내 문구가 적혀 있다. 사진=김범준 기자

정부의 추가 부동산 대책 발표 소식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14일 서울 성동구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에 매물 안내 문구가 적혀 있다. 사진=김범준 기자

"이번 주말께 계약서 쓰겠다는 분이 아침부터 전화해서 오늘 작성할 수 있냐고 하시더라고요. 정부 규제가 곧 나올 거 같다면서 당장 계약하자는 문의였습니다."(서울 마포구 공덕동 중개업소 대표)

정부가 서울 강남권과 한강 벨트 등의 아파트값 급등을 막기 위해 추가 규제에 나설 것이란 소식이 퍼지면서 14일 오전부터 중개업소에는 문의 전화가 빗발쳤다. 성동·마포·광진구 등 집값이 빠르게 뛰고 있는 지역에서는 정부 규제 전 서둘러 매수하겠다는 수요자들의 움직임이 나타났다. 다만 이미 토지거래허가구역 등 규제로 묶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 등에서는 큰 변화는 감지되지 않는 분위기다.

들썩거리는 한강 벨트

중개업계에 따르면 추석 연휴 앞뒤로 한강 벨트 지역에는 아파트 매수를 문의하는 수요자들이 대폭 늘었다. 성동구 상왕십리동 A공인 대표는 "연휴 때도 폭탄 떨어진 듯 문의가 왔다"며 "더 센 규제가 발표된다고 하니까 계약금 10%를 당장 넣겠다는 분들이 적지 않았다"고 말했다.

강동구 둔촌동 B공인 대표도 "집주인과 매수인 모두 오늘(14일) 안에 계약하고 싶다는 전화를 했다"며 "정부 추가 대책 발표가 임박했다는 소식에 서둘러 계약을 마치려는 것 같다"고 했다.

재건축 기대 등으로 집값이 뛰고 있는 경기 성남 분당구도 이날 중개업소에 문의 전화가 끊이지 않았다. 분당구는 추석 연휴 직전 아파트값 주간 상승률이 0.97%로, 전국 시·군·구 가운데 가장 높았다. 분당구 이매동 C공인 관계자는 "추석 연휴가 끝난 뒤 문의가 많이 왔다"며 "강남이나 송파 쪽 물건 보고 온 사람들이 이 가격이면 살만하다고 생각하지만 좋은 물건은 많지 않아 거래가 활발하진 않다"고 전했다.

이미 규제지역으로 묶여 있는 강남 3구와 용산구 등은 상대적으로 차분한 분위기다. 현금 부자들이 주로 매수하는 지역이라 대출 규제 등에서 상대적으로 빗겨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송파구 잠실동 D공인 대표는 "잠실은 정부 대출 규제 이후에도 집값이 계속 오른 매도자 우위 시장"이라며 "규제 지역이 확대되면 오히려 다른 데 투자할 필요 없이 강남 3구 사면 된다는 인식도 있다"고 말했다.

다시 늘어난 서울 아파트 거래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최근 다시 늘어나는 추세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매량은 6419건으로 집계됐다. 6·27 대책 이후 7월 4031건, 8월 4195건으로 관망세를 보이다 지난달 손바뀜이 대폭 증가한 것이다. 9월 거래 신고 기한이 이달 말까지라서 거래량은 7000건을 훌쩍 넘길 것으로 보인다.

업계는 정부가 곧 부동산 대책을 발표할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한강 벨트를 넘어 경기 과천과 성남 분당 등의 아파트값이 치솟으며 과열 양상을 보여서다. 이번 대책은 6·27 가계대출 관리 방안, 9·7 주택공급 확대 방안에 이은 패키지 형태의 종합 대책이 될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정부 대책이 시장에서 효과를 내려면 꾸준한 공급 메시지를 주는 게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박원갑 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저렴한 주택 공급이 늘어난다는 신호가 나와야 무주택자의 '패닉 바잉'(공황 구매)이 진정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양지영 신한 프리미어 패스파인더 전문위원은 "정부 규제가 강력하면 집값이 일시적으로 조정받긴 할 것"이라며 "다만 최근 거래량이 늘어난 것에서 보듯 이미 살 사람은 대부분 샀다는 의미여서 집값이 급락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수요 시장은 큰 타격은 없을 것이란 분석도 있다. 윤수민 농협은행 부동산 전문위원은 "실거주가 받쳐주는 중저가 시장은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면서도 "보유세, 종합부동산 등 세금을 올리게 되면 고가 주택 시장은 타격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안정락/임근호/오유림 기자 jran@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