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저조한 고용 통계에
트럼프 “조작됐다”며 발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고용통계가 “조작됐다”며 담당인 에리카 맥엔타퍼 노동부 노동통계국장을 전격 경질하자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고 미국 언론들이 2일 전했다. 통계의 정치적 중립성을 훼손할 수 있는 조치라는 염려가 나오고 있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맥엔타퍼 국장을 경질한 것은 1일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가 지난달 7만3000개 증가하는 데 그쳤다는 통계 발표 직후이다.
미국의 고용 사정이 지난 5∼7월 악화했다는 통계가 나오자, 트럼프 대통령은 맥엔타퍼 국장이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 임명됐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맥엔타퍼 국장이 지난해)대선 전에 카멀라(해리스 전 부통령)의 승리 가능성을 높이려고 일자리 숫자를 조작”했다고 주장하며 해고했다.
이에 대해 통계의 독립성과 정치적 중립성을 위협하는 나쁜 선례라는 지적이 전문가들 사이에서 잇따르고 있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고용통계국장에 임명됐던 윌리엄 비치 전 국장은 뉴욕타임스(NYT)에 이번 경질과 관련해 “아무런 근거도 없다”며 “다른 통계의 독립성까지 위협하는 위험한 선례가 될 것”이라고 염려했다.
경제학자 마이클 스트레인은 워싱턴포스트(WP)에 “기업, 가계, 투자자 입장에선 정부의 통계가 정확하고 정치적으로 편향되지 않았다고 믿는 게 매우 중요하다”며 “대통령은 고용통계국과 공식 통계를 정치화했다”고 비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5∼6월 고용 증가수의 하향 조정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는데 통계 수집의 시차를 고려하면 흔히 있는 일이라는 반론도 제기됐다.
WP는 “6월의 경우 지방의 교육 관련 일자리에 대한 최신 자료가 반영되면서 고용 증가 규모가 감소한 것”이라는 경제학자들의 설명을 전했다.
민주당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전쟁’의 여파로 일자리가 줄었다는 사실을 감추기 위해 자신에게 불리한 통계를 내놓은 당국자를 내쫓은 것이라는 비판이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