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이데일리 하상렬 기자] 새 정부의 ‘공정경제’ 공약에 따라 역할 확대가 예상되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조사 역량을 높이기 위해 디지털포렌식 장비를 개선하는 작업에 돌입했다.
![]() |
공정거래위원회.(사진=연합뉴스) |
8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공정위는 최근 ‘디지털포렌식 스토리지·장비 확충 사업’을 발주했다. 총 7억 5800만원의 예산이 투입되며, 공정위는 연말까지 사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공정위는 어떤 사건에 대해 조사할 때 현장조사에서 확보한 자료를 본부로 가져와 디지털포렌식을 거친 후 본격적인 분석 작업에 들어간다.
확보된 디지털포렌식 자료는 피심인의 자료 확인, 조사관 검토, 최종 심판, 불복 시 행정 소송 등 행정처리 전 과정에 걸쳐 안전하게 보관돼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공정위 사건이 많아지다 보니, 라이선스 갱신 등 디지털포렌식 장비를 최신화해 네트워크 속도를 개선하고 저장용량도 늘리는 등 작업을 주기적으로 해야 한다.
공정위는 이번 사업으로 디지털 조사 대응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했다. 디지털포렌식 장비 최신화로 조사관은 최신 모바일 기기 등 보다 다양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디지털 자료를 수집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증거자료 수집이 용이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공정위는 기존 데이터 자료를 이중화해 운영 데이터에 대한 안정적인 보호와 효율적인 서버 운영을 꾀한다. 디지털자료의 수집, 등록, 보관, 폐기에 이르는 ‘생애주기’(Life Cycle) 이력을 안정적으로 관리해 디지털자료에 대한 진본성을 갖춰 조사 신뢰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공정위 관계자는 “디지털 조사 지원 시 삭제, 위·변조 여부 등 신속한 자료 수집과 현장 대응력을 강화하고, 디지털자료 분석 시 삭제된 전산 자료의 복구와 비정형 대용량 자료 분석 등 위반행위 증거 수집 능력 강화를 목표로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디지털포렌식 기술이 계속 업그레이드 되기 때문에 이를 최신화 할 필요가 있다”며 “컴퓨터 같은 장비를 업그레이드 하는 것과 비슷한 차원”이라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