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러 파병 북한군 전사자 600여 명 등 4700여 명 사상”

1 week ago 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국가정보원은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으로 인한 사상자가 약 4700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며, 이 중 전사자는 600명 이상이라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병력 약 1만 5000명을 파병해 쿠르스크 지역 탈환을 도운 것으로 분석되며, 파병 장기화로 내부 일탈행위도 확인되었다.

또한 국정원은 북한이 러시아와의 파병 거래로 다양한 군사기술 및 장비를 지원받고 있다는 정황을 포착하고, 이는 한미의 정보 수집 활동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국회 정보위 비공개 간담회 보고
파병 장기화에 음주·절도 일탈도
전사자 현지 화장해 가족에 인도
중국인의 군부대 무단촬영 11건

※매경DB 자료사진.

※매경DB 자료사진.

국가정보원은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 가운데 전사자 600여 명을 포함해 총 4700여 명의 사상자가 나온 것으로 30일 추산했다.

이날 김병기 더불어민주당·이성권 국민의힘 의원은 국정원이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 감담회에서 이같이 보고했다고 밝혔다. 합동참모본부가 지난달 말 공개한 사상자 수인 ‘약 4000명’보다 한 달 새 병력손실 규모가 다소 늘어난 셈이다.

국정원은 북한이 1·2차에 걸쳐 병력 약 1만 5000여 명을 파병해 러시아의 쿠르스크 지역 탈환을 도왔다고 분석했다. 또 파병이 장기화하며 내부적으로 과음·절도 등 일탈행위도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국정원은 현재로선 눈에 띄는 3차 파병 동향은 없지만 관련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국정원은 북한이 부상병 2000여 명을 지난 1~3월에 항공기와 열차편으로 송환해 평양 등지에서 격리 수용 중인 것으로 확인했다고 보고했다. 북측은 상당수 전사자 시신을 쿠르스크 현지에서 화장한 뒤 가족들에게 전달한 것으로도 파악됐다. 국정원은 북한군은 참전 6개월을 넘기면서 무인기 등 신형 장비 사용에 익숙해졌고, 전투력을 상당히 향상시켰다고 분석했다.

북한이 파병과 무기 수출 대가로 현금 대신 군사기술 및 장비를 러시아로부터 지원받고 있는 정황도 포착됐다. 국정원에 따르면 북측은 △정찰위성 발사대 및 기술 자문 △무인기 △전자전 장비 △SA-22 지대공미사일 등을 러시아에게서 제공받았다. 북측이 러시아에 노동자 약 1만 5000명을 파견 중인 정황도 잡혔다.

한편 국정원은 중국인들의 국내 군부대 등 무단 촬영 사건이 작년 6월부터 최근까지 11건 발생했다고 밝혔다. 주요 촬영 대상은 군사기지와 공항, 항만과 국정원, 핵심 무기체계 등이었다.

국정원은 “촬영자 신분은 관광객 등 일시 방한객과 유학생이 대부분이고, 그중 일부 고등학생 등 미성년자도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중국 측의 이러한 움직임을 한미 핵심전력 정보를 얻기 위한 ‘저강도 정보활동’이라고 봤다.

국정원은 “(해당 중국인들은) 촬영 목적이 ‘여행 기록용’이라고 주장하지만, 군사기지법 적용 경계선 밖에서 고성능 카메라나 무전기 등을 사용해 활동하는 등 국내법을 회피하려는 의도가 다분하다고 분석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현재 북한에만 적용되는 간첩법을 개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