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고양시가 급격히 늘어나는 복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고양시민복지재단’ 설립을 추진한다. 이는 민선 8기 복지 분야 1호 공약으로, 현재 조례 제정과 예산 편성 등 마지막 절차만 남겨두고 있다.
22일 고양시에 따르면 관내 노인 인구 비율은 18%를 넘어섰고, 2028년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복지 수요가 도내에서 가장 큰 수준에 도달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사회복지 대상자는 44만 명으로 경기도 31개 시·군 중 가장 많다. 복지시설도 865곳에 달한다. 하지만 시설 간 서비스 수준 차이가 크고, 소규모 시설이 많아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복지예산도 급격히 늘었다. 내년 고양시 복지예산은 1조4658억원으로 전체 예산의 43.8%를 차지한다. 이는 10년 전보다 48% 증가한 수치다. 그러나 시민 체감도는 여전히 낮다. 지난해 사회조사에서 건강·복지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5.7점에 그쳤다.
재단은 정책 기획과 예산 관리, 중복 서비스 해소, 지역 대응력 강화를 통해 맞춤형 복지를 확대하는 역할을 맡는다. 지난해 경기도 설립 심의를 통과해 필요성이 공식 인정됐지만, 조례안이 한 차례 부결되며 출범 일정은 다소 지연됐다. 시는 10월 임시회에 조례안을 다시 상정하고, 2026년 상반기 출범을 목표로 절차를 진행할 방침이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108만 대도시에 걸맞은 합리적 복지체계 구축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며 “재단을 통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맞춤형 복지를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고양=정진욱 기자 crocu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