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강세로 마감했다. 미국 중앙은행(Fed)가 금리인하 사이클을 재개한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긍정적인 대화를 나눈 영향이다. 10월 한국에서 트럼프 집권 2기 첫 정상회담을 갖기로 한 점도 낙관론에 힘을 실었다.
1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지수는 전장보다 172.85포인트(0.37%) 오른 46,315.27에 거래를 마감했다.
S&P500지수는 전장보다 32.40포인트(0.49%) 뛴 6,664.36, 나스닥 종합지수는 160.75포인트(0.72%) 상승한 22,631.48에 장을 마쳤다.
중·소형주 지수인 러셀 2000은 0.7% 하락했는데, 이는 이날 장중 사상 최고치를 새로 쓴 뒤 주간 상승분의 일부를 되돌린 것이다.
애플 주가는 신형 아이폰이 전 세계에서 출시되면서 3.2% 급등해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테슬라도 2.2% 넘게 올랐다.
이번 주 월가 주요 지수들은 강한 주간 상승세를 보였다. S&P 500과 다우는 각각 1.2%, 1% 상승했고, 나스닥은 2.2% 올랐다. 러셀 2000은 2.2% 올라 7주 연속 주간 상승을 기록했다.
이번 주 증시는 Fed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하면서 탄력을 받았다. 이는 지난해 12월 이후 첫 금리 인하였다. 시장에서는 이미 예상했던 조치였지만, 제롬 파월 Fed 의장이 기자회견에서 이번 결정을 ‘리스크 관리 차원’이라고 표현하면서 장중 변동성이 확대되기도 했다.
네이션와이드 수석 시장전략가인 마크 해킷은 “역사적으로 9월은 조정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지만, 올해 시장은 그 패턴을 거스르며 3월 이후 35% 상승했다. 이는 강력한 기술적·펀더멘털적 추세가 뒷받침했기 때문이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S&P 500이 현재 예상 실적 기준 주가수익비율(PER) 22배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고, 변동성이 억제된 상황을 고려할 때, 일정 기간의 조정이나 등락 장세는 정상적이고 건강한 흐름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뉴욕=박신영 특파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