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AI로 학생부 쓰는 교사들…대학 “믿을수 있나” 고심

12 hours ago 3

교사 70% “챗GPT 사용 경험 있다”
세특 작성 도와주는 AI 업체도 등장
대학들 “면접 강화해 맞게 썼는지 확인”
정부가 기재 지침 줘야 한다는 의견도

게티이미지

게티이미지
‘일본어 수업 도중 동료 발언을 주의 깊게 듣고 이해하려는 노력을 보였고, 질문이나 의견을 제시할 때도 상대방 의견을 경청하며 존중하는 자세를 보였습니다.’

서울의 한 고교 교사는 최근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를 활용해 학생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세특)을 작성했다. ‘일본어 수업을 들었고, 경청하는 태도가 좋다’는 내용만 입력했는데도 수식어를 추가한 문장이 자동으로 생성됐다.

2026학년도 대학 입시 수시모집 학생부 마감이 다음 달 31일로 다가온 가운데 최근 고교 현장과 대학에서는 AI를 활용한 학생부 세특 작성을 두고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교사들은 행정 업무에 들이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AI를 활용해 세특을 작성하고, 대학은 당장 올해 입시부터 챗GPT로 쓴 학생부를 걸러내기 위한 대책을 고심 중이다.

● AI로 학생부 작성 늘어

최근 교사들 사이에서는 학생 과제와 동아리 활동, 수업 내용 등을 챗GPT 등 AI에 입력해 초안을 작성하는 일이 늘고 있다. 수시전형에서 중요한 평가 요소인 세특 내용을 두고 학부모들의 민원이 잦아 교사들이 세특 작성 업무에 부담을 느끼기 때문이다. 2023년 서울시교육청이 교원 521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챗GPT를 실제 사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교원은 70.1%였다.

최근에는 교사의 학생부 세특 작성 업무를 도와주는 AI 프로그램 제공 업체도 등장했다. 교육 플랫폼 업체 B사는 교사가 학생 활동 기록을 교육행정 정보시스템 나이스(NEIS)에서 엑셀 파일로 내려받아 해당 프로그램에 입력하면 AI가 세특 초안을 생성해 준다. 2023년 설립된 G사는 학생들이 과제를 G사 플랫폼을 통해 제출하면 AI로 평가 초안을 자동 작성해 교사에게 전달한다.

● ‘평가 흔들릴 수도’ AI 학생부에 대학 고심대학은 입시 과정에서 세특 내용과 학생 역량이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고심 중이다. 서울의 한 대학 입학사정관은 “지난해 입시에서 AI가 작성한 듯한 문체가 있어 챗GPT가 작성한 문장을 식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돌려 보니 의심 사례 97% 이상 AI가 작성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또 다른 입학사정관은 “세특은 교사가 학생을 직접 관찰하고 평가한 내용을 교사 언어로 기재했다는 신뢰에 기반한 것”이라며 “AI가 대신 쓰면 평가 근거가 흔들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대학이 학생부 세특 내용과 학생 역량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려면 결국 수시모집에서 면접을 강화해 직접 학생에게 질문하는 방식으로 검증할 수밖에 없다는 의견이 나온다. 현 고1이 치르는 2028학년도 대입에서는 내신이 5등급제로 완화돼 변별력이 약해진다. 이 때문에 AI로 학생부를 작성하는 사례가 늘어나면 각 대학은 내년에 공고할 대학 입학전형 시행계획에 면접 강화 등의 대책을 담을 것으로 예상된다. 교육부가 수시 불공정 요소를 없애겠다며 2024학년도부터 자기소개서를 폐지해 대학이 내신 외에 학생을 평가할 수 있는 요소는 학생부뿐인데 학생부 신뢰도가 떨어지면 면접을 추가해야 한다는 취지다.

AI 활용 흐름을 막기 어려운 만큼, 정부가 입시 공정성을 보완할 수 있는 지침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서울의 한 사립대 입학처 관계자는 “학생부 기재 방식을 서술식에서 객관적인 활동 기록을 나열하는 방식으로 바꾸면 AI가 개입할 여지가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도의 한 사립대 관계자는 “AI로 학생부를 작성하면 수시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는 것”이라며 “개별 대학이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라 정부 차원의 지침이 생겨야 한다”고 말했다.

동아일보 단독 >

이런 구독물도 추천합니다!

  • 함께 미래 라운지

    함께 미래 라운지

  • e글e글

  • 트렌드 NOW

    트렌드 NOW

김민지 기자 minji@donga.com
김소영 기자 ksy@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