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서울대 '10조 AI 인프라' 님비에 막혔다

18 hours ago 2

서울대가 경기 시흥캠퍼스 내에 추진 중인 10조원 규모 국가 인공지능(AI) 컴퓨팅센터 설립이 좌초할 위기에 처했다. 경기도, 시흥시, 서울대 등 캠퍼스 부지 활용에 권리를 가진 3자가 240메가와트(㎿)급 ‘하이퍼스케일’(초대형) 규모로 짓기로 합의했지만, 지역 시민단체 등의 반대에 부딪혀 모든 절차가 중단됐다. 정부가 엔비디아로부터 확약받은 26만 개의 그래픽처리장치(GPU)가 복마전처럼 얽혀 있는 지방 정치의 늪에 빠져 무용지물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3일 서울대 관계자는 “지난달 조달청 나라장터에 올린 ‘시흥 AI센터 구축 사업관리(PM) 용역’ 입찰 공고를 최근 내렸다”며 “서울대로선 시흥 배곧 주민을 비롯한 모든 이해 당사자가 동의하지 않으면 이번 계획을 실행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시흥 배곧 내 주민단체는 서울대 AI데이터센터 건립 계획에 “주민의 생명을 갉아먹는 산업시설”이라며 반발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번 사업은 교육부 산하 국립대가 추진하는 초대형 AI 인프라 프로젝트다. 심각한 전력난으로 서울대 관악캠퍼스는 GPU를 확보해도 이를 활용해 AI 연구를 수행할 수 없는 상황이다. 계약 전력(56.5㎿)이 한계에 다다랐다. 해결책으로 서울대는 관악에 있는 GPU 서버를 시흥 배곧에 지어질 AI컴퓨팅센터로 통합하기로 하고,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방식으로 국내외 사업자를 물색하기로 결정했다. 이를 위해 지난 8월 산업통상부의 전력계통영향평가(사업자가 10㎿ 이상 전기 사용을 신청하면 전력망의 안정성 등을 따져 승인하는 제도)를 신청해 분과 심사를 통과했다.

전남 해남으로 확정된 1호 국가AI컴퓨팅센터(1GW급 예상)와 비교해 시흥 AI센터는 규모는 작지만, 인재가 몰린 서울대와의 연결성 덕분에 사업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AI업계 관계자는 “시흥 AI센터 입지를 고려하면 정부가 이번에 확보한 26만 개 GPU 중 상당량을 공급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삼성, 현대자동차, SK 등 대기업과의 산학협력에도 유리할 것이라는 게 산업계의 공통된 진단이다.

안정훈/김영리 기자 ajh6321@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