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이상 새 차 안 산다…20·30세대 확 달라진 이유

11 hours ago 2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올해 상반기 20·30대의 신차 등록 비중이 10년 내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반면, 60·70대의 신차 구매는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를 더 이상 '필수품'으로 여기지 않는 젊은 세대의 인식 변화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8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20대의 승용 신차 등록 대수는 2만9066대로, 전체 등록 대수(51만1848대) 가운데 5.7%를 차지했다. 2016년 8.8%였던 20대 점유율은 매년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2022년 7.8%, 지난해 6.7%에 이어 올해는 5%대까지 내려앉았다.

30대의 신차 등록 점유율도 감소세다. 올해 상반기 등록 대수는 9만9611대(19.5%)로, 2016년(25.9%)보다 6.4%포인트 줄었다. 이 같은 추세라면 올해 연간 기준으로는 처음으로 30대 점유율이 20% 아래로 떨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반면 고령층의 신차 등록 비율은 매년 상승 중이다. 60대는 올해 상반기 9만2123대를 등록해 18.0%의 점유율을 보였고, 70대는 2만3010대를 등록해 4.5%를 기록했다. 60대의 점유율은 2016년 9.6%에서 올해 두 배 가까이 뛰었고, 70대도 같은 기간 2.8%에서 4%대로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20·30대의 구매 감소는 차량 공유 문화 확산과 신차 가격 부담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반면 정부가 고령 운전자의 면허 반납을 장려하고 있지만, 고령층의 경제활동 지속으로 차량 수요는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