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가 턱까지 닿는다”…마약 중독으로 ‘이 증후군’ 생긴 20대 남성

4 days ago 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란 이스파한의과대학 의료진은 약물 중독으로 인한 경추후만증(CKS) 희귀 사례를 보고하며, 신경계 이상 외의 새로운 원인을 제시했다.

23세 남성 A씨를 포함한 세 명은 약물 남용으로 인해 심각한 목뼈 기형을 겪었으며, 치료에는 신체 교정 수술이 포함되었다.

의료진은 이번 사례가 약물 남용으로 인한 경추 기형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며, '약물중독 증후군'으로 명명하였다고 밝혔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약물 중독으로 머리떨굼증후군(Dropped Head Syndrome, DHS)과 경추후만증(Cervical Kyphoscoliosis, CKS)을 얻은 20대 남성. [사진 = 이란 이스파한의과대학 신경외과 자료]

약물 중독으로 머리떨굼증후군(Dropped Head Syndrome, DHS)과 경추후만증(Cervical Kyphoscoliosis, CKS)을 얻은 20대 남성. [사진 = 이란 이스파한의과대학 신경외과 자료]

마약 중독으로 목뼈가 기형이 되어버린 희귀 사례가 보고됐다.

이란 이스파한의과대학 신경외과 의료진은 최근 보고서에서 근육 약화나 신경계 이상 등 전통적 병인이 아닌, 새로운 원인에 의한 경추후만증(Cervical Kyphoscoliosis, CKS) 사례를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3세 남성 등 환자 3명은 목이 앞으로 굽는 경추후만증 정도가 심각했다. 심지어 턱이 가슴에 닿을 정도였다. 통증과 감각 이상은 물론, 머리떨굼증후군(Dropped Head Syndrome, DHS)까지 보였다.

스스로 머리를 들어 올리지 못하는 머리떨굼증후군은 신경근육질환의 일종이다. 보통 중증 근무력증 등에서 나타난다. 목을 지지하는 근육 약화나 불균형, 신경계 손상으로 신호 전달에 이상이 생기면 발병한다. 파킨슨병 진행과 더불어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로도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희귀 사례로 꼽힌 환자들의 병인은 다른 곳에 있었다. 과거 같은 병력이나 외상은 물론 수술 이력도 없는 이들은 오로지 약물 중독에 의한 불균형한 자세 때문에 경추 기형을 얻은 것으로 전해졌다.

일례로 23세 남성 A씨는 어릴 적부터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환경에서 자라면서 심각한 우울증을 겪었다. 동시에 헤로인과 아편, 암페타민 등 마약을 남용해왔다. 특히 암페타민 복용 때마다 오랜 시간 고개를 숙인 자세를 유지했고, 결국 목뼈가 굽고 뒤틀려 버렸다.

신체검사에서도 목뼈 변형 외에 뇌신경 이상 등 다른 요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진은 정신과 치료와 함께 꺾인 목뼈를 바로 세우는 수술을 병행했다. 목뼈와 근육 일부를 제거하고, 나사와 막대 등으로 흐트러진 균형을 바로잡는 교정 방식을 활용했다.

수술은 성공적이었다. 다음날부터 정상 보행한 환자는 3일 후 퇴원했다. 1년의 추적 관찰에서도 목뼈 정렬과 교정이 만족스럽게 개선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의료진은 이번 연구가 전통적 병인이 아닌 전혀 새로운, 즉 오로지 약물 남용에 의한 경추 기형 사례를 제시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헤로인과 암페타민 중독에서 기인한 경추 기형을 ‘약물중독 증후군’(Intoxicated Syndrome), ‘만취성 목 변형’(Hangover neck deformity)으로 명명했다.

다만 약물 남용 환자는 순응도가 낮아 치료가 까다롭다며, 매우 장기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4월 의학저널 ‘임상사례보고’(Clinical Case Reports)에 제출된 연구 보고서는 지난달 미국 국립보건원 산하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NCBI)에 증례 보고서로도 등록됐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