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기에, ‘원전 부활’ 공식화…22년 만에 탈원전 폐기

4 hours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벨기에가 22년 만에 탈원전 정책을 폐기하고 새로운 원자로 건설을 허용하는 원전 부활 계획을 의회에서 가결했다.

이는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에너지 위기가 고조되면서 기존 탈원전 계획을 재검토하게 된 결과로, 형식적으로 새로운 에너지 모델을 위한 첫걸음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벨기에 외에도 유럽 여러 나라에서 탈원전 '유턴' 움직임이 잇따르고 있으며, 다수의 국가들이 원전 수명 연장이나 신규 건설을 검토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새 원자력 발전소 건설 허용하는 계획
의회서 찬성 102표, 반대 8표로 통과
다른 유럽국가들도 탈원전 ‘유턴’ 잇달아

라르스 오고르 덴마크 에너지 장관. EPA 연합뉴스

라르스 오고르 덴마크 에너지 장관. EPA 연합뉴스

벨기에가 22년 만에 탈원전 정책을 폐기하고 ‘원전 부활’을 선언했다.

15일(현지시간) 벨기에 의회는 새로운 원자로 건설을 허용하는 것을 골자로 한 연방정부의 원전 산업 부활 계획을 찬성 102표, 반대 8표, 기권 31표로 가결했다고 AFP 통신이 보도했다.

이날 투표 가결은 이미 예견된 수순이다. 지난 2월 취임한 보수 성향의 벨기에 새 연립정부는 탈원전 ‘유턴’을 논의해 왔다. 벨기에는 프랑스 에너지회사 엔지(Engie)가 운영하는 두 개의 원자력 발전소를 보유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벨기에 전체 발전량의 약 40%를 원자력이 차지하고 있다.

환경보호와 노후 원전 안전 문제로 지난 2003년 탈원전을 선언한 벨기에는 새로운 원전 건설을 금지하고, 올해까지 모든 원전을 폐쇄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유럽 전역의 에너지 위기가 고조되면서 기존 계획을 뒤집기 시작했다. 2023년 1월에는 가장 최근에 지어진 원전 2기의 가동을 예정보다 10년 더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이어 그해 2월에는 최장수 원전 폐쇄 일정도 2025년에서 2027년으로 미루겠다고 발표했다.

마티유 비헤트 벨기에 에너지 장관은 “연방의회가 20년간의 봉쇄와 머뭇거림을 극복하고, 현실적이고 탄력적인 에너지 모델을 위한 길을 열었다”라며 “이것은 단순한 에너지 개혁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경제, 환경, 전략적 미래를 위한 결정적 발걸음”이라고 말했다.

유럽에서 탈원전 ‘유턴’ 움직임은 벨기에 외 다른 국가들에서도 잇따르고 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산 가스 수입이 막히면서 에너지 위기가 찾아왔기 때문이다. 인공지능(AI) 개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전력 수요가 늘어난 것도 탈원전 정책 폐기에 영향을 끼쳤다.

전날 덴마크 정부는 40년간 이어온 원자력 발전 금지 정책에 대한 변화를 시사했다. 라르스 오고르 덴마크 에너지·기후 장관은 덴마크 일간 폴리티켄과의 인터뷰에서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차세대 원자력 기술이 갖는 잠재적인 이점을 분석할 것”이라고 말했다.

1990년 마지막 원자로를 폐쇄하며 세계 최초 탈원전 국가로 꼽히는 이탈리아는 지난 3월 원자력 기술의 사용을 허용하는 법안을 승인했다.

프랑스와 벨기에, 영국 등은 기존 원전의 수명을 연장했다. 프랑스는 신규 원전 6기 건설 계획도 추진 중이며, 영국 역시 힝클리 포인트 C 원전 건설과 함께 SMR 개발 등을 검토 중이다. 네덜란드와 스웨덴은 신규 원전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

재생 에너지를 강조하던 스페인도 지난달 대규모 정전 사태를 겪은 뒤 향후 10년간 원자력 발전소 7곳을 폐쇄하려던 계획을 재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022년 탈원전 국가가 된 독일에서도 원전 재개 논의가 진행 중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