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에서 1700억원이 넘는 부당대출 사고가 발생했다.
2일 금융계에 따르면 경기남부경찰청은 경기 성남의 한 새마을금고에서 일어난 1716억원 규모 부당대출 사건을 수사하고 있다. 경찰은 금고 직원 등이 외부인과 공모해 허위계약서를 제출하는 방식으로 총 87건의 불법대출을 진행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서류를 위조해 담보가치를 부풀린 정황도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부당대출 사고가 발생한 이곳은 2023년 55억원 흑자에서 작년 186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지난해 고정이하여신 규모만 1845억원으로 전체 여신 중 16.78%를 차지하고 있다.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전년보다 3배 가까이 늘어났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부당대출에 연루된 임원과 직원 4명에 대해 지난해 해임과 징계면직 조치를 했다.
새마을금고중앙회에 따르면 부당대출은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지속됐다. 부당대출 금액은 총 1716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으며, 새마을금고 직원 본인은 물론 가족과 지인 명의로 설립된 20여 개 '깡통 법인'이 활용된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에서는 새마을금고의 부실한 내부통제가 연이은 부당대출 사고로 연결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새마을금고에서는 2023년에도 700억원대 부당대출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새마을금고 관계자는 "차명법인 계좌를 여러 개 동원해 금액이 커진 것"이라면서 "300억원은 충당금으로 쌓아뒀으며 향후 경·공매 등을 거쳐 부실을 최소화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금융권에서는 부당대출 등 금융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이날 하나은행도 외부인에 의한 사기로 금융사고 3건이 일어났다고 공시했다. 금액은 64억원에 이른다. 하나은행은 올해만 5번째 금융사고를 공시했다. 지난달 14일에는 350억원 규모 외부인 사기 사고를, 23일에는 74억원대 부당대출로 금융사고를 공시했다.
[이소연 기자 / 한상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