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 소리나게 빠진다…강남·마포 집주인 아우성, 거래량도 뚝 떨어졌다는데

7 hour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부의 고강도 대출규제가 영향을 미치며 서울 강남과 '마용성' 지역의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둔화되고 있다.

서울 아파트값은 최근 0.19% 상승했으나, 강남구와 한강 벨트의 상승폭이 모두 감소했으며, 거래량도 급감해 아파트 매매 계약 취소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아파트 매매가격은 0.02% 상승했지만, 지방은 여전히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대출규제 후 3주째 집값 상승 둔화
강남·마포·송파 등 급등세 가라앉아
거래량 82% 줄고 계약 줄줄이 취소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강벨트 오름세도 ‘제동’...마포구 상승폭, 가장 크게 떨어져

정부의 고강도 대출규제가 효과를 내면서 서울 강남권과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한강벨트 집값 급등세가 꺾였다.

사진설명

18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지난 14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0.19% 상승해 전주(0.29%) 대비 상승폭이 0.10%포인트 줄었다.

서울 아파트값은 정부 대책 발표 후 3주 연속 상승세가 둔화하고 있다.

올해 들어 집값이 급등했던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한강 벨트 상승폭도 일제히 축소됐다.

강남구(0.34%→0.15%) 서초구(0.48%→0.32%) 송파구(0.38%→0.36%) 모두 급등세가 가라앉은 분위기다.

한강 벨트 오름세에도 제동이 걸렸다. 마포구는 0.24%로 전주(0.6%) 대비 상승 폭이 0.36%포인트 감소하며 서울 내 전 자치구 중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용산구는 0.26%의 상승률을 기록해 전주 대비 상승 폭이 0.11%포인트 줄었고, 성동구는 0.45%로 전주(0.7%) 대비 0.25% 오름폭이 축소됐다.

집값이 주춤하는 상황은 실거래가로도 알 수 있다. 강남구 역삼동 ‘래미안 그레이튼2차’ 전용면적 84㎡(8층)는 지난 4일 30억원에 거래됐다.

이 아파트 같은 면적 같은 층 물건이 지난달 20일 33억원에 손바뀜한 것을 감안하면 3억원 하락했다.

마포구 상암동 ‘상암월드컵파크3단지’ 전용 84㎡는 지난 5월 12억원(7층)에 매매됐으나 이달 1일에는 8억원(11층)에 계약을 맺어 두 달 새 4억원이 빠졌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매매가 10억 이상 고가 아파트 ‘계약 취소’ 증가

서울 아파트 거래량 비교 그래프

아파트 거래량도 대책 발표 후 급감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이달 1~16일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981건으로 지난달 같은 기간(5513건)보다 4532건 줄어 82%의 감소율을 보였다.

매매가 10억원이 넘는 아파트의 계약 취소 비중은 증가했다.

부동산 중개 플랫폼 집토스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6월 27일 거래된 수도권 아파트 매매 계약을 분석한 결과, 대책 발표 이후(6월 27일~7월 15일) 해지한 계약 가운데 10억원 초과 아파트 비중이 35.0%로 집계됐다.

대책 발표 전(1월 1일~6월 26일) 취소된 거래 중 10억원 초과 아파트 비중은 26.9%였다.

한편 이번주 전국 기준 아파트 매매가격은 0.02% 상승했다. 지방은 -0.02%로 하락폭이 다소 줄었다. 세종시는 보합(0.00%)에서 0.03%로 상승 전환했고, 대구(-0.08%), 대전(-0.06%), 제주(-0.05%) 등은 하락세를 지속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1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