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가 인텔에 50억달러(약 7조원)를 투자해 개인용 컴퓨터(PC)·데이터센터용 칩을 공동 개발하기로 하면서 글로벌 반도체업계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미국 정부의 ‘인텔 살리기’ 행보로 해석된다. 하지만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분야 협력 내용이 빠지면서 삼성전자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엔비디아는 18일(현지시간) 50억달러 규모의 인텔 보통주를 매입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매입 가격은 주당 23.28달러로, 거래가 마무리되면 엔비디아는 인텔 지분 4% 이상을 보유한 주요 주주로 올라선다.
양사는 PC와 데이터센터용 칩을 공동 개발하기로 합의했다. 인텔은 차세대 PC용 칩에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적용하고, 엔비디아는 인텔의 x86 기반 중앙처리장치(CPU)와 엔비디아의 GPU 및 네트워킹을 결합한 데이터센터용 인공지능(AI) 시스템을 개발한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인텔 투자 발표 뒤 콘퍼런스콜에서 “우리는 인텔 CPU의 매우 큰 고객이 되고, 엔비디아는 인텔 칩에 GPU 칩렛을 공급하는 대규모 공급 업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엔비디아는 자사 칩 생산을 인텔에 위탁할지에 대해 구체적인 계획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황 CEO는 “우리는 항상 인텔의 파운드리 기술을 평가해 왔고 앞으로도 계속할 것이지만, 이번 발표는 전적으로 맞춤형 CPU에 초점을 맞췄다”고만 했다.
하지만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라는 분석도 있다. 엔비디아와 인텔 간 협력이 시작된 만큼 향후 엔비디아가 인텔에 칩 생산을 맡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서다. 이 경우 핵심 파트너인 TSMC는 최대 고객을 인텔에 빼앗길 수 있고, 삼성전자도 점유율 하락이 예상된다.
월스트리스저널(WSJ)은 이날 엔비디아 발표 이후 “인텔이 잃어버린 영광을 되살리려면 엔비디아의 50억달러 투자와 칩 개발 합의보다 더 많은 게 필요하다”며 “인텔은 회사를 분할할 필요가 있다”고 보도했다.
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