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공허를 얻기 위해 달린다." 마라톤을 즐기는 일본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는 자신의 에세이에서 이렇게 말했다. 우리는 흔히 공허는 미완성, 부족한 상태로 여긴다. 시간과 마음을 뭔가로 채우고 장식하기 위해 애쓰며 산다. 그런데 왜 하루키는 공허를 얻으려 노력한다고 말할까.
최근 출간된 토마스 무어의 신작 <공허에 대하여>는 공허를 무의미하거나 해소해야 할 상태가 아니라 새로운 가능성으로 바라보는 책이다. <영혼의 돌봄>으로 유명한 작가이자 심리치료사인 무어는 말한다. "온갖 소음에 끊임없이 시달리는 세상에서는 조용히 사는 법을 익히는 것이 꼭 필요하지요. 자기 생각과 가슴 뛰는 소리를 들을 수 없다면 어떻게 진정으로 자신을 이해할 수 있겠습니까?"
'비움의 가치'를 알려주는 책이다. '더 많이, 더 빨리, 더 높이'를 외치는 경주에 지친 현대인에게 새로운 삶의 태도를 제시하는 잠언집 같다. "삶이라는 연못에 뛰어들 때마다 굳이 소리를 낼 필요는 없습니다. 소란스럽지 않아도 깊고 단단하게 존재할 수 있습니다."
나태주 시인은 이 책 추천사에서 "이 시대야 말로 결핍이 결핍된 시대"라며 "우리는 지금 너무 많은 것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더 많은 것을 갖고 싶어 아등바등 물에 빠진 사람처럼 허우적거리는 사람들"이라고 했다. 이어 "맑고 밝은 이 책이 우리네 삶에 부족한 청빈의 아름다움과 고귀함을 가르쳐줄 것"이라며 일독을 권했다. 시인인 이해인 수녀는 "공허가 채워주는 참 행복을 기대하며 공허를 자꾸만 더 갈망하고 맛보게 만드는 책"이라고 평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