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가 정부와 국회에 의료 정상화를 위한 논의의 장을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지난 1년2개월 동안 지속된 의정 갈등이 새로운 국면을 맞을 전망이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8일 서울 이촌동 의협회관에서 연 브리핑에서 “의료 정상화는 차기 정부가 들어서기 전에 현 정부가 해결해야 할 과제”라며 “논의의 장이 마련된다면 전공의와 의대생도 함께 나와 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논의 테이블에는 정부와 의료계 당사자, 국회 의장실에서 조율한 국회 측 인사가 앉으면 된다”고도 했다.
의정 갈등 국면에서 정부와 의료계 대표단체인 의협 간에는 공식적인 대화 테이블이 없었다. 정부는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개특위) 참여를, 의협은 별도 논의체 구성을 주장하며 이견의 폭을 좁히지 못했다. 의협이 2025학년도 증원을 막지 못한 채 1년을 넘긴 상황에서 의대생들이 속속 학교로 복귀했고, 그 과정에서 의협은 ‘대안 없는 반대만 한다’는 비판을 의료계 안팎에서 받았다.
김 대변인은 “대화 테이블이 마련된다면 이른 시간 안에 의료 정상화가 이뤄질 수 있다”고 했다. 다만 논의 테이블 마련 여부와 별개로 오는 20일 서울시청 인근에서 예정된 전국의사궐기대회는 그대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의협은 또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전 규모인 3058명으로 확정해달라고 요구했다. 전날 의협을 비롯한 의료 관련 12개 단체는 교육부에 공문을 보내 이번주에 의대 정원을 확정하라고 촉구했다. 다만 교육부 관계자는 같은 날 정례 백브리핑에서 2026학년도 의대 정원에 대해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말했다.
오현아 기자 5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