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 "파운드리 포기 안 한다"

3 days ago 7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를 반드시 성공시키겠다.”

29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컨벤션센터(SJCC)에서 열린 ‘인텔 파운드리 다이렉트 2025’의 기조연설자로 나선 립부 탄 인텔 최고경영자(CEO)는 이렇게 말했다. 그는 “우리는 제조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면서 반도체 개발 및 제조 분야에서 위상을 높이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탄 CEO의 이 같은 발언은 지난해 12월 팻 겔싱어 CEO가 이사회에서 해임된 뒤 계속 제기돼 온 파운드리 부문 분리 매각설에 선을 그은 것으로 해석된다. 탄 CEO는 이날 “취임 후 5주간 많은 사람에게 파운드리 사업을 계속할 것인지에 관한 질문을 받았다”며 “나의 대답은 예스(yes)”라고 했다. 그는 “물론 우리는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며 “우리의 로드맵, 파트너십, 실행력을 강화하겠다고 결심했다”고 강조했다.

인텔은 올 하반기부터 미국 오리건주 힐스버러 인근 공장에서 1.8나노미터(㎚) 공정 대량 생산을 시작한다. 애리조나주 공장에서도 올해 양산에 들어간다고 이날 밝혔다. 당초 인텔은 지난해 말부터 1.8㎚, 이른바 인텔 18A 공정에서 반도체 생산을 시작하겠다고 밝혔지만 경영난과 CEO 교체로 계획이 지연됐다. 나가 찬드라세카란 인텔 수석부사장은 “18A 공정엔 여느 신기술과 마찬가지로 여러 고비와 난관이 있었지만 팀은 계속 앞으로 나아갔다”며 “올해 하반기부터 18A 공정으로 대량 생산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많은 기업이 자사 최첨단 공정인 1.4㎚(인텔 14A) 공정에 관심을 보인다는 점도 강조했다. 탄 CEO는 “여러 고객사가 2027년을 목표로 14A 공정에서 테스트 칩을 개발하겠다는 의향을 드러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와 TSMC가 각각 2027년과 2028년 1.4㎚ 공정 개시를 예고했는데 이를 따라잡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첨단 공정뿐 아니라 구형(레거시) 공정에서 미디어텍, UMC 등 고객사를 확보했다는 사실도 밝혔다.

탄 CEO는 이날 ‘고객 우선’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이날 행사에 참석한 케이던스, 시놉시스 등 주요 전자설계자동화(EDA) 업체 수장들에게 고객 관점에서 인텔에 대한 피드백을 묻는 데 시간을 할애했다.

실리콘밸리=송영찬 특파원 0full@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