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사이버 침해 피해에 따라 유심 무료 교체 서비스를 진행하는 가운데, 재고 부족과 혼란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T월드 매장에서 오래 대기하지 않도록 온라인 예약이 권장되고 있다.
SK텔레콤은 28일 오전 10시부터 전국 T월드 매장 2600여 곳에서 유심 무료 교체 서비스를 시행한다. SK텔레콤은 현재 약 100만개의 유심을 보유하고 있고 다음 달 말까지 약 500만개의 유심을 추가로 확보할 예정이라고 전날 밝혔다.
다만 SK텔레콤 가입자 2천300만명과 이 회사 망을 사용하는 알뜰폰 가입자 187만명을 합해 교체 대상자가 모두 2500만명에 달한다는 점에서 재고 부족에 따른 혼란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교체 희망자는 주변 T월드 매장이나 공항 로밍센터를 방문하면 된다. SK텔레콤 측은 출국자가 제일 많은 인천공항 로밍센터엔 인력을 50% 더 늘려 유심 교체 서비스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방문 예약은 온라인으로 희망 대리점을 선택하면 가능하다. SK텔레콤 측은 "고객들이 일시에 매장에 몰릴 경우 많은 불편이 예상된다"며 온라인 예약 신청 후 방문을 당부했다. 사전 신청 순서대로 유심 교체가 이뤄질 전망이다.
유심 교체 전까지는 유심보호서비스 가입도 당부했다. 유심보호서비스는 2023년 불법 유심복제로 인한 피해를 차단하기 위해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와 협력해 개발된 서비스다. 해킹 조직이 유심 정보를 탈취·복제하더라도 타 기기에서 고객 명의로 통신서비스에 접속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SK텔레콤은 "유심보호서비스는 유심 교체와 동일한 피해 예방 효과를 가지고 있어 해킹 피해를 막을 수 있으니 믿고 가입해 달라"며 "이 서비스 가입자에게 유심 불법 복제 피해가 발생하면 SK텔레콤이 100% 책임지겠다"고 전했다. SK텔레콤 전체 가입자 2300만명의 24%인 총 554만명이 해당 서비스에 가입한 상태로 파악됐다.
SK텔레콤은 지난 18일 해커에 의한 악성 코드로 이용자 유심과 관련한 일부 정보가 유출된 정황을 확인했다. 유출된 정보는 가입자별 유심을 식별하는 고유식별번호 등인 것으로 파악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경찰 등이 조사를 진행 중이다.
SK텔레콤은 사고 초기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을 권장했지만, 이후 해킹 우려가 커지자 지난 25일 유심 무상 교체를 결정했다. 그렇지만 금융감독원이 금융회사들에 휴대전화 본인인증, 문자메시지 인증만으로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 추가 인증수단을 고려하라고 당부하고, 일부 보험사가 SK텔레콤 인증을 중단하는 등 우려가 가시지 않는 상황이다.
유심 무료 교체 서비스가 시작되기 전부터 SK텔레콤 대리점에 유심 교체를 하겠다며 찾는 가입자들이 몰렸지만 '수량 부족'을 이유로 허탕을 친 사람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전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SK텔레콤 조치의 적정성을 면밀히 점검하라고 지시했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