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장관, 취임식 후 기자들과 질답서 밝혀
“의료인도 특혜 논란 알아…합리적 방안 찾아야”
“2년 이상 의사 배출 공백시 어려움 가중 우려”
정은경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진행된 취임식 후 기자들과 만나 “일방적인 정책으로 시작된 일이라는 것도 감안해야 하고 2년 이상 의사 배출 공백이 생기면 환자들이나 국민의 입장에서도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다”며 “국민 눈높이로 신속하게 정상화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수련을 시켜야 하는 병원도 있고 수련을 받아야 하는 전공의들도 있고, 또 먼저 복귀한 전공의들도 있다”면서 “이런 수련 주체 간의 의견을 수련협의체를 통해서 모으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9월 하반기 수련까지 의견을 모을 시간이 촉박하다는 지적에는 “복지부가 계속 준비를 해와서 어떻게 (수련협의체를) 구성하고 회의할 것인지, 어떤 의제로 논의할 것인지 등은 신속하게 진행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세부 방안이 마련되면 공지하겠다”고 답했다.앞서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는 지난 19일 임시대의원총회를 열어 ▲윤석열 정부의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재검토를 위한 현장 전문가 중심의 협의체 구성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 및 수련 연속성 보장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 완화를 위한 논의 기구 설치 등 3대 요구안을 결정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정 장관은 “필수의료 패키지, 의료사고에 대한 부분들은 이전 정부에서도 검토됐던 중요한 이슈였다. 의료인뿐 아니라 국민도 보호하는 부분”이라며 “이재명 정부의 새로운 의료 정책을 담아 평가와 보완이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수련 정상화, 수련 연속성 보장 등 수련을 강화하는 부분들도 다르지 않다”며 “이번에 좀 더 좋은 수련 체계를 만드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부연했다. 그는 “(전공의들) 복귀에 대해서는 수련협의체를 통해 의견이 모아지면 국민이 납득하거나 이해할 방안을 찾아야 하겠다고 생각한다”고도 했다.정 장관은 “1년 반 이상 (의정 갈등이) 지속돼서 의료인, 국민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며 “정상화를 시켜야 한다는 생각은 환자도 의료인도 마찬가지다. (의료계가) 긍정적인 자세로 같이 협의해 주시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정 장관은 앞으로의 연금개혁 방향성에 대해 “이재명 대통령이 부부 감액을 개선하겠다고 말하셨는데 워낙 재원이 많이 들기 때문에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에 대해 세부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국회 연금특위가 계속 가동되고 있기 때문에 국민, 지역, 기초연금을 다 포함해 구조개혁을 하면서 재정의 안정적 확보, 노후 소득 보장 방법이 논의될 거라고 생각한다. 복지부도 열심히 참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 장관은 이날 0시부터 임기를 시작해 복지부 장관으로서 국무회의에 처음 참석 후 이 대통령과 오찬을 가졌다. 정 장관은 “(국무회의에서) 수혜에 대한 예방 대책, 국정 전반에 대한 얘기를 자유롭게 했다”며 “(이 대통령께서) 공무원들이 신속하게 행정 속도를 내서 일하라고 말씀하셨고, 국무회의에서 긴밀하게 토론해 칸막이를 없애는 정책을 하자고 하셨다”고 전했다.
정 장관은 취임 소감으로 “현장의 목소리를 많이 듣고자 한다”며 “가장 시급한 게 폭염 취약계층에 대한 폭염 예방 관리가 어떻게 되고 있는지 먼저 챙겨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의료 정상화가 시급한데 환자연합회나 단체들, 의료계 인사를 만나는 등 의료 정상화 관련 현장 방문이 시급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세종=뉴시스]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