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천주교주교회의와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주교회의)는 성 김대건(1821∼1846) 안드레아 신부의 것이 확실하다고 판단되는 유해 일부를 확보했다고 2일 밝혔다.
주교회의에 따르면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녀회가 김대건 신부의 유해를 1839년 기해박해 순교자인 성 앵베르 주교, 성 모방 신부, 성 샤스탕 신부의 유해와 함께 보관하다 체계적이고 안전한 보존을 염원하며 올해 2월 19일 주교회의에 기증했다.
주교회의는 증명서와 유해가 보이는 유해함의 사진을 이날 공개했다. 1846년 순교한 김대건 신부의 유해와 유해 증명서가 시복 100주년을 맞아 공개된 것이다.
유해가 모셔진 유해함과 유해 증명서는 하나의 액자 형태로 함께 보존돼 있었다.
그동안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녀회에서 보관해 오다 지난 2월 한국천주교주교회의·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에 기증했다.
유해 증명서에는 1925년 12월 16일이라는 날짜가 표기돼 있으며, 이는 같은 해 7월 5일 거행된 시복식 이후 5개월이 지난 시점에 발급된 것을 의미한다고 천주교주교회의 측은 설명했다.
또 “공인된 장소에서 추출된 유해를, 수정으로 둘러싸여 있는 도금된 은제 유해함에 경건하게 안치해 잘 닫고, 붉은색 비단 끈으로 묶어 인장으로 봉인했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고 주교회 측은 덧붙였다.
주교회의 관계자는 “김대건 신부의 유해와 관련한 문제를 전수 조사하는 중인데, 공적으로 확인할 증명서가 있다는 점에서 사료 가치가 크다”고 설명했다.
한편 김 신부의 유해는 순교 후 최소 200곳 이상으로 분산된 것으로 전해진다.
누가 어디에 보관하고 있는지 전체적인 실태가 파악되지 않은 가운데 2022년 인터넷 사이트에 김 신부의 척추뼈를 판다는 글이 올라와 논란이 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