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교황, 여성권·동성애 개혁을 이을까…콘클라베 사흘 앞

5 hours ago 1

프란치스코 교황 장례식이 지난달 26일(현지시간) 바티칸 성베드로 광장에서 엄수됐다. 앞줄 왼쪽 두 번째부터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알렉산데르 스투브 핀란드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연합뉴스

프란치스코 교황 장례식이 지난달 26일(현지시간) 바티칸 성베드로 광장에서 엄수됐다. 앞줄 왼쪽 두 번째부터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알렉산데르 스투브 핀란드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차기 교황 선출을 위한 콘클라베가 사흘 앞으로 다가오면서 프란치스코 교황이 남기고 간 가톨릭 개혁 의제를 추기경들이 그대로 이어 나갈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여성권·동성애에 포용적인 행보를 펼쳐왔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3일(현지시간) 프란치스코 교황이 12년 재위 기간 가톨릭교회의 개혁을 유산을 남긴 만큼 그가 남긴 과제를 후대에서 이어갈지에 대한 추기경들의 선택이 차기 교황을 결정짓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NYT는 프란치스코 교황을 진보성향으로 분류되게 한 이민자와 가난한 사람에 대한 옹호적 시각 자체는 가톨릭교회 내에서 그다지 논쟁적인 문제는 아니라고 봤다. 교회 자체가 낯선 이에게도 쉴 곳과 먹을 것을 내어주라는 복음을 기본 교리로 삼고 있어서다.

다만 변화에 대한 포용과 개방이라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유산을 이어갈 것인지는 논쟁거리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동성애, 여성 사제 서품 등은 프란치스코 교황 재위 기간 논란이 됐던 첨예한 주제들이다. 차기 교황 선택에 따라 교회가 해당 주제들을 앞으로 어떻게 다뤄나갈지 짐작할 수 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성직자뿐만 아니라 평신도들도 교회가 나아갈 방향을 상의하는 주체가 되어야 한다고 봤다. 가톨릭교회의 개혁작업을 논의하는 세계주교대의원회의(시노드·Synod)에 평신도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대표적이다.

프란치스코 교황 재임기에 소집된 시노드에서는 여성 부제(사제 바로 아래 성직자) 허용 여부와 성소수자 포용 문제 등 예민한 주제를 다뤘고, 교황은 2023년 여성에게 처음으로 시노드 투표권을 부여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런 행보는 보수적인 교회 지도자들의 반발을 샀다. 그 때문에 NYT는 가톨릭의 미래를 결정하는 데 누가 발언권을 가질 자격이 있는지와 같은 문제가 차기 교황 선택을 좌우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여성의 권리와 결혼, 성소수자에 대한 관점도 차기 교황 선택에 주요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여성이 강론과 세례·혼인 성사를 집전할 수 있는 성직자인 부제가 되도록 허용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시기상조라고 판단하기는 했지만, 교회 내에서 여성의 역할을 꾸준히 확대해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혼하거나 재혼한 신자들도 포용해야 한다고 촉구했고, 동성 커플에 대해서도 축복을 허용했다. 그의 재위 기간 시노드에서는 사제 부족 문제가 심각한 아마존 지역에만 기혼 남성에게도 사제품을 주는 권고안을 채택하기도 했다.

추기경들은 콘클라베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의 이런 개혁을 그대로 이어갈 인물을 선택할지 보수적으로 교회의 안정을 꾀할 인물을 뽑을지 기로에 서게 될 것으로 보인다.

가톨릭교회가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성장하고 있다는 점도 변수다. 신자들이 늘고 있는 이들 지역 출신 교황이 탄생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특히 글로벌 사우스(주로 남반구에 위치한 신흥국과 개도국)와 글로벌 노스(북반구 선진국) 문제에 대한 관심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가나 콰메 은크루마 대학의 한 신학자는 새 교황이 해당 지역 출신이든 아니든 "국제정치에서의 글로벌 사우스와 글로벌 노스의 불평등에 대해 말할 준비가 돼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며 "21세기에는 교황도 이 문제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박수빈 한경닷컴 기자 waterbean@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