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부과에 대응해 중국의 대형 온라인 유통 플랫폼 테무가 지난 주말부터 약 145%의 '수입 수수료'(import charges)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미국 방송 CNBC는 28일(현지시간) 이같이 보도하며 "이에 따라 18.47달러짜리 여름 원피스 구입 비용은 수입 수수료 26.21달러가 추가돼 44.68달러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더불어 "12.44달러짜리 아동용 수영복은 수입 수수료 18.68달러가 붙어 31.12달러가 되고, 16.93달러짜리 휴대용 진공청소기는 21.68달러의 수입 수수료를 고려하면 40.11달러가 될 것"이라고 했다.
테무는 홈페이지를 통해 "미국으로 수입되는 품목에는 수입 수수료(import charges)가 부과될 수 있다"며 "수입 수수료는 구매자를 대신해 (미국) 세관 당국에 지불하는 '수입 수수료'(import fee)를 포함한 모든 세관 관련 절차와 비용이 포함된다"고 안내했다.
다만 "표시된 금액은 실제 세관 당국에 지불하는 금액과 다를 수 있다"고 덧붙였다.
테무와 함께 대표적인 중국 쇼핑 플랫폼으로 꼽히는 쉬인 역시 지난 주말 가격을 인상한 것으로 확인됐다. 쉬인은 미국 앱스토어 쇼핑 부문 2위로 미국인이 즐겨 찾는 쇼핑몰이다. 하지만 지난 주말을 전후해 의류에서 주방용품에 이르기까지 미국에서 판매하는 상품 대부분의 가격을 크게 인상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전했다.
미용 및 건강용품 상위 100개 제품의 평균 가격이 전날 대비 51% 인상됐고 일부 품목은 두 배 이상으로 올랐다. 특히 키친타월 10개짜리 세트 가격은 1.28달러에서 6.10달러로 377% 폭등했다.
하지만 테무처럼 '수입 수수료'를 부과한 방식은 아닌 것 같다고 CNBC는 보도했다. 쉬인은 공식 홈페이지에 "결제 금액에는 관세가 포함된다"며 "배송 시 추가 비용을 지불할 필요가 없다"는 배너를 추가했다.
테무와 쉬인의 가격 인상은 트럼프 행정부가 800달러 미만 수입품에 관세를 면제해주던 '소액 면세 제도'(de minimis)를 다음 달 2일부터 폐지하고 120%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히면서 나왔다. 이달 초 소액 면세 제도 폐지가 공언되자 테무와 쉬인은 미국 고객들에게 "오는 25일부터 가격을 조정할 예정으로 현 가격에 구매를 권장한다"고 고지했다.
이를 두고 블룸버그는 "글로벌 무역전쟁이 미국 소비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신호"라고 해석했다. 미국의 대중국 관세 145% 부과가 부메랑처럼 미국 소비자 물가에 반영되기 시작했다는 지적이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