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인도 25%관세+벌칙…인도+러시아 동시 압박

22 hours ago 1

사진=REUTERS

사진=REUTERS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인도에 25% 관세와 벌칙까지 부과하겠다고 다짐하고 나섰다. 지난 2월 인도의 나렌드라 모디 총리를 초청한 정상회담에서 양국간 무역을 2030년까지 5천억 달러로 늘리자고 합의한 지 반 년도 지나지 않았다. 인도에 대한 이같은 강수는 인도와 인도의 주요 에너지 및 무기 구입처인 러시아를 동시에 압박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트럼트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오전 자신의 소셜미디어인 트루스소셜에 글을 올려 인도에 25% 관세를 8월 1일부터 적용하고 추가로 벌칙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는 “인도는 우리의 친구이지만, 지난 몇 년간 우리는 인도와 상대적으로 적은 사업을 해왔다. 인도의 관세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며, 모든 나라보다 가장 엄격하고 불쾌한 비금전적 무역 장벽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적었다. 또 “그들은 항상 군사 장비의 대부분을 러시아에서 구매해왔고, 모두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서의 살인을 멈추기를 바라는 이 시기에 중국과 함께 러시아산 에너지의 가장 큰 구매자”라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것이 좋지 않다”면서 “따라서 인도는 8월 1일부터 25%의 관세를 지불하고, 플러스로 위와 같은 행동에 대한 페널티도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도에 대한 벌칙의 내용에 대해서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다.

트럼프의 인도에 대한 강수는 무역 협상에 대한 압박 목적과 함께 인도가 러시아산 무기와 에너지의 최대 구매자라는 것에 대한 불만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이틀 전 러시아에 대해 2주내로 우크라이나와 평화협정을 체결하지 않으면 러시아의 무역 상대국에게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한 만큼, 러시아에 대한 압박 효과도 동시에 노렸을 가능성이 높다.

인도는 러시아, 중국, 브라질 등과 함께 BRICS의 주요 멤버이기도 하다.

미국과 인도의 무역 협상 대표들은 특히 미국 농산물과 유제품의 시장 접근 문제와 관련해 수차례 논의를 가졌다.

인도 관리들은 인도 농부의 생계를 위협한다는 이유로 밀, 옥수수, 쌀, 유전자 변형 콩의 수입에 대한 국내 시장 개방을 거부하고 있다.

지난 해 인도의 대미 상품 수출은 약 870억달러(약 121조원)으로 의류, 보석 및 귀금속, 의약품, 석유화학 제품 등 노동 집약적 제품이 포함된다. 미국은 현재 인도와의 무역에서 457억달러의 적자를 보고 있다.

올해 초 트럼프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총리는 정상회담을 갖고, 2025년 가을까지 무역 협정 1단계를 마무리하고 2030년까지 양국 간 무역 규모를 2024년 1,910억 달러에서 5,000억 달러로 확대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미국의 인도에 대한 수출은 지난해 약 420억달러로 제조업 부문 및 액화천연가스, 원유, 석탄 등 에너지 위주로 수출하고 있다.

인도 관리들은 이전에도 미국을 중국을 견제하는데 있어 중요한 전략적 파트너로 간주한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농업과 데이터 거버넌스, 그리고 국가 보조금 정책을 유지할 필요성을 강조해왔다.

한편 애플은 최근 중국내 생산 거점을 점차 인도로 옮기고 있어 인도에 대해 25% 관세가 부과되고 예외가 허용되지 않을 경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