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硏 “아파트 공급↓수요↑…신속한 공급확대 필요”

4 week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부의 대출 규제로 서울을 중심으로 한 주택시장의 과열은 완화되었으나, 향후 주택공급 부족과 수요 증가는 우려스러운 상황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공급 측면에서 2022년부터 주택건설 착공이 줄어들고 있으며, 내년에는 수도권과 지방의 공동주택 입주예정물량이 각각 38.7%와 44.6%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와 함께 대출금리 하락과 주택가격 상승 기대심리로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른 균형 잡힌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건설착공 부진으로 공급 감소
금리하락에 수요는 증가 예상
매매가 조정은 일시적 조정
규제효과 줄며 지속 상승할듯
실효성 있는 공급대책 내놔야

서울 시내 아파트 전경. [연합뉴스]

서울 시내 아파트 전경. [연합뉴스]

정부의 주택담보대출 규제로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 주택시장의 과열 양상이 완화되는 모습을 보이는 가운데 향후 주택 시장의 균형을 달성할 수 있도록 신속한 주택공급 확대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24일 현대경제연구원은 ‘수도권 부동산 경기 점검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주택건설 착공 부진이 지속돼 향후 주택공급이 감소하는 반면 금리 하락, 주택가격 기대심리로 수요는 점차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은 최근 정부의 강력한 대출 규제로 서울 주택시장의 과열 양상이 완화됐지만 불확실성은 계속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과열은 가라앉았지만 상승세가 여전히 지속되고 있고, 이에 정부가 추가적인 부동산 규제 도입 가능성을 계속 시사하고 있어서다.

이런 가운데 향후 공급 감소와 수요 증가가 맞물려 다시 부동산 시장이 과열될 우려가 있다고 연구원은 전망했다. 공급 측면에서는 2022년부터 시작된 주택건설 착공 물량 감소로 올해부터 공급 위축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올해 상반기까지 주택건설 누적 착공 물량은 10만3100호로 2024년 전체 물량인 30만5300호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올해도 전년 대비 착공 물량은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주택공급 지표 추이 [자료 = 현대경제연구원]

주택공급 지표 추이 [자료 = 현대경제연구원]

보고서는 “내년 수도권과 지방권 공동주택 입주예정물량은 올해 대비 각각 38.7%, 44.6%씩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주요 3기 신도시의 준공 일정도 지연되고 있어 향후 주택공급 부족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반면 수요 측면에서는 대출금리 하락, 주택가격 상승 기대심리 강화, 주택가격 부담 완화, 구매 여력 개선으로 인해 주택수요가 점차 증가할 것으로 봤다. 글로벌 투자은행(IB)이 한국 기준금리가 올해 4분기 2.25%까지 떨어지고 내년 1분기에는 2%까지 내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고, 주택구입 부담 수준이 2022년 고점 대비 전국적으로 30% 감소한 상황에서 실수요 중심의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게 연구원의 주장이다.

연구원은 향후 부동산 경기가 공급과 정책 부문에 의해 좌우될 가능성이 큰 만큼 일관되고 신뢰성 있는 정책을 통해 주택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최근 2년간 주택건설 인허가 후 착공으로 전환되지 못한 물량의 비중이 높은데, 이를 파악해 실제 착공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면 빠른 시간에 주택공급 확대가 가능할 것” 이라며 “수도권 내 택지공급에 한계가 있는 만큼 정비사업 규제 완화, 유휴부지 및 공공기관 이전부지 개발을 다각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1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