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쇠 달궈졌을때 쳐야”… 내각 구성 등 시스템 복원 속도전

7 hours ago 4

[이재명 정부 한달]
대선 기간 ‘집권 100일 구상’ 마련… 李 “내각 구성도 원샷으로 하자” 제안
시장-도지사 12년 행정경험 바탕… 늦은밤 참모들에 SNS로 업무 지시
“지지율 올려 지방선거 대비” 해석도

“쇠도 달궈졌을 때 쳐야 한다.”

이재명 대통령은 6·3 대선 기간 사석에서 이같이 언급하면서 취임 초부터 ‘속도전’에 나설 뜻을 밝혔다고 한다. 실제 이 대통령은 취임 한 달 만에 추가경정예산(추경)안 편성, 주요 인선 발표, ‘3대 특검’ 임명, 다자 외교 참석 등 국정 운영에 속도를 내면서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과정에서 무너진 정부 시스템 복원에 나섰다. 이 대통령이 대선 과정부터 준비했던 인재 풀과 집권 100일 계획을 바탕으로 이례적인 속도전에 나선 것. 정치권에선 이 대통령이 특유의 성과주의를 앞세워 빠르게 국정을 장악하고 성과를 유도해 내년 지방선거까지 대비하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 인재 풀 준비했던 李 “원샷 인선 하자”

이 대통령이 취임 한 달도 안 돼 대통령실 고위 참모와 부처 장관 인선을 사실상 마무리한 것을 두고 대선 때부터 인재 풀을 준비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여권 핵심 관계자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조기 대선으로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없이 출범해야 하는 상황에서 대선 때부터 인재 풀 구성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통령은 대선 기간 더불어민주당 인재위원장을 맡은 정성호 의원을 비롯해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등 최측근 인사들로부터 당 안팎의 인재를 추천받고 부처별 장관 후보자 명단도 꾸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은 집권 직후 대통령실 주요 참모에게도 “내각 구성을 빨리 하는 게 좋겠다”며 “가급적 원샷으로 발표하는 게 어떠냐”는 제안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인수위 없이 출범한 문재인 정부 당시 6차에 걸쳐 장관 후보자를 나눠 지명한 것과 달리 신속한 인선에 방점을 둔 것. 이 대통령은 지난달 23일과 29일 등 2차례에 걸쳐 장관 후보자를 각각 11명, 6명 일괄 발표하면서 국토교통부와 문화체육관광부를 제외한 후보자 지명을 마무리했다.

이 대통령은 대선 기간 김 후보자, 이한주 국정기획위원장 등에게 ‘집권 100일 구상’을 맡긴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안에는 추경을 비롯한 민생경제 대책, 비상경제점검 태스크포스(TF) 회의 개최,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등 주요 일정이 포함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인수위 없이 출범한 문재인 정부의 일정을 주로 참고하면서 위기 대응에 초점을 맞췄다”고 했다.

● 성과주의 앞세운 속도전

경기 성남시장, 경기도지사를 거친 이 대통령의 12년 행정 경험도 국정 속도를 끌어올리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 대통령은 취임 당일 비상경제점검TF 회의에서 추경 편성을 지시하고, 닷새 후 열린 2차 TF 회의에선 ‘2000원 라면값’을 거론하면서 직접 물가 점검에 나섰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늦은 밤에도 텔레그램을 통해 직접 참모들에게 참고할 만한 자료를 전달하거나 업무 지시를 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 대통령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직접 받은 시중 여론을 참모진에게 그대로 전달하는 경우도 많다”며 “참모들로서는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상태”라고 했다.

정치권에선 이 대통령이 국정 속도전을 통해 지지율을 끌어올리고, 내년 지방선거 이후의 국정 운영 주도권까지 고려한 행보라는 분석이 나온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지방선거에서 패할 경우 취임 1년 만에 정권이 힘 빠지는 상황 아니냐”며 “이 대통령으로서는 초반부터 국정 운영 기반을 탄탄히 다져야 하는 상황”이라고 했다. 다만 대통령실 내부에선 내각과 대통령실이 완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지나치게 속도를 중시하는 데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대통령실 시스템이 완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대통령 홀로 만기친람형으로 이슈를 주도하는 상황”이라며 “향후 국정 위기가 왔을 때 모든 책임이 대통령에게 갈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했다. 여권 관계자는 “이 대통령이 성남시장 시절부터 정치적 공격을 많이 받다 보니 장기적인 개혁 과제보다는 당장 유권자들에게 효능감을 줄 수 있는 성과에 강박적으로 몰두하는 경향이 있다”고 했다.

윤다빈 기자 empty@donga.com
박훈상 기자 tigermask@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