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부사장 "AI의 미래, 기술 아닌 협력에 달렸다"

2 days ago 8

[경주=이데일리 이배운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인공지능(AI) 확산의 핵심 과제로 정부와 민간의 협력을 통한 대규모 인프라 투자와 디지털 격차 해소를 제시했다.

30일 경북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APEC CEO 서밋에서 앤서니 쿡 마이크로소프트 부사장이 대담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안토니 쿡 MS 부사장은 30일 경북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CEO 서밋’ 대담에서 “AI는 인류가 맞이한 가장 큰 기술적 전환 중 하나지만, 기술만으로는 진정한 변화를 만들 수 없다”며 “기업과 정부, 시민사회가 협력해 기술을 선한 방향으로 확산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쿡 부사장은 “AI의 혜택을 모두에게 공평하게 전달하려면 대규모 인프라 투자가 선행돼야 한다”며 “과거 인터넷 확산기처럼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도시와 농촌 간 격차가 다시 벌어져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AI 시대에는 인프라와 전력망이 모든 지역에 고르게 구축돼야 한다”며 “데이터센터, 전력망, 네트워크 같은 하드웨어 인프라는 물론 이를 운용할 기술 인력 양성도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쿡 부사장은 마이크로소프트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각국 정부와 교육기관, 한국 SK하이닉스 등과 협력해 기술 교육과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또 매년 800억 달러 (약 113조 6600억원) 이상을 인프라에 투자하고, 50억 달러 (약 7조 1100억원)규모의 기후변화 대응 펀드도 운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기업은 단순히 이윤을 추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책임 있는 행동을 해야 한다”며 “마이크로소프트는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그린 전력망 구축을 통해 AI 성장과 친환경 목표를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AI의 부작용에 대해서는 “AI는 막강한 변혁의 힘을 지녔지만 동시에 위험도 안고 있다”며 “소프트웨어 설계 단계부터 ‘안전’을 핵심 가치로 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책임을 강화하겠다고 혁신을 가로막아서는 안 될 것”이라며 “누가 책임을 질 것인가를 명확히 하되, 과도한 규제로 창의성과 혁신을 억누르는 일은 없도록 시민사회와 기업, 정부가 함께 토론하며 균형점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