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온이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시범생산을 시작한다. SK온은 대전 엑스포로 미래기술원에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플랜트를 준공했다고 16일 발표했다. 이석희 SK온 사장(가운데)은 이 자리에서 “SK온이 탄탄한 기업으로 도약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며 “전고체 배터리를 누구보다 앞서 상용화해 전동화 시대를 앞당기겠다”고 말했다.
현재 상용화된 리튬이온 배터리는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지만 전고체 배터리는 고체 전해질을 써 에너지 밀도가 높고 열과 압력에 강하다. 화재·폭발 위험이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상용화가 어렵다.
SK온은 전고체 배터리를 기존 목표인 2030년보다 1년 앞당겨 2029년까지 상용화하겠다는 계획이다. SK온은 우선 에너지 밀도 800와트시/리터(Wh/L)인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한다. 장기적으로는 에너지 밀도를 1000Wh/L까지 높인다.
파일럿 라인은 고객사에 공급할 시제품을 생산하고, 제품의 품질과 성능 등을 평가·검증하는 시설이다. SK온의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플랜트는 4628㎡ 규모로 조성됐다. SK온은 신규 파일럿 라인에서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를 생산할 예정이다.
파일럿 플랜트엔 전고체 배터리 생산에 필요한 높은 압력과 온도를 적용할 수 있는 ‘온간등압프레스(WIP) 프리 기술’이 국내 최초로 도입됐다. 상온보다 높은 온도(25~100도)에서 전극에 균일한 압력을 가해 밀도와 성능을 높이는 차세대 압착 공정이다. SK온 관계자는 “독자적인 셀 설계 공법과 프레스 공정 개선으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진원 기자 jin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