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8일 金-韓 토론 진행뒤 단일화 여론조사 강행하기로

16 hours ago 1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담판 결렬에 지도부 ‘압박’ 돌입
“전 당원 긴급 설문서 ‘단일화 필요하다’ 응답이 82.8%”
단일화 여론조사, 경선룰대로 ‘당원 50% 국민 50%’ 계획
토론 무산돼도 여론조사 강행 방침…내홍-법적논란 가능성

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김문수 한덕수 회동이 결렬로 끝난후 국민의힘 의원총회가 열렸다. 권영세, 권성동 지도부 등이 참석했고 권성동 원내대표가 다시한번 단일화를 촉구하며 의총 후 단식에 돌입하겠다고 발언했다. 이후 의총은 비공개로 진행되고 있다. 장승윤 기자 tomato99@donga.com

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김문수 한덕수 회동이 결렬로 끝난후 국민의힘 의원총회가 열렸다. 권영세, 권성동 지도부 등이 참석했고 권성동 원내대표가 다시한번 단일화를 촉구하며 의총 후 단식에 돌입하겠다고 발언했다. 이후 의총은 비공개로 진행되고 있다. 장승윤 기자 tomato99@donga.com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와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회동에서 단일화 합의가 불발되자 국민의힘 지도부가 단일화 토론회와 여론조사를 통한 단일화 압박 절차에 돌입했다. 이날 책임당원 대상 설문조사에서 ‘단일화가 필요하다’는 응답과 ‘후보 등록 마감일(11일) 전에 해야 한다’는 응답이 모두 80%를 넘긴 것을 근거로 사실상 당 주도의 단일화 절차에 착수한 모양새다. 당 지도부 관계자는 “전당원 투표에서 11일까지 단일화하라고 명령이 나왔으니 당이 나설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은 단일화 로드맵을 제시하며 “(후보가 동의하지 않아) 토론회가 무산되도 여론조사를 한다”고 밝혔다. 김 후보가 여론조사 방식 단일화에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당 주도로 여론조사를 강행하고 이를 근거로 대선 후보를 교체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은 것.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선 “절차적 정당성에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법률이 문제 되면 정치적 선택을 포기해야 할 수 있다” 등 단일화 강행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분출했다.

● 국민의힘 “8일 토론회 무산되도 여론조사 실시”

국민의힘은 이날 책임당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동응답전화(ARS) 설문조사에서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와 무소속 한덕수 후보 간 단일화 필요성’에 대해 ‘필요하다’는 응답이 82.82%가 나왔다고 밝혔다. 단일화가 필요하다는 응답자에게 ‘후보 단일화 시기’에 물은 결과 ‘후보 등록(11일) 전에 해야 한다’가 86.7%였다. 응답률 33.8%였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설문조사 결과를 근거로 8일 오후 6시 유튜브 생중계로 토론회를 열고 같은 날 오후 7시부터 9일 오후 4시까지 여론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여론조사는 대선 경선 때처럼 당원투표 50%, 국민여론조사 50%로 진행한다. 국민여론조사엔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만 참여하도록 하는 역선택 방지 조항이 적용된다.
당 지도부는 토론회가 무산되더라도 여론조사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기존 선관위원장이던 황우여 전 대표는 전격 사퇴했고, 단일화를 추진해온 이양수 사무총장이 단일화 과정을 총괄하는 선임 선관위원장을 맡았다.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두 후보 사이에 단일화 협상이 진전 안돼 저희가 마련한 플랜비(B)로 강력히 준비했다”며 “후보 두 분이 합의 안되면 따라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여론조사 결과가 반드시 그에 따라 결정하는 걸 의미하진 않는다. 그걸 참고해 논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여론조사 결과 한 전 총리가 김 후보를 앞설 경우 당 지도부가 전당대회를 거쳐 후보 교체를 단행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이 선관위원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후보 재선출, 후보 교체 등 다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무리하게 단일화 밀어붙이다 후보 못낼라”

당내에선 지도부가 단일화 경선을 강행해 후보 교체에 나설 경우 대선 후보의 권한 침해 등 여러 논란에 휩싸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먼저 단일화 대상 후보의 의견 반영 없이 여론조사 룰과 문구를 정하는 게 맞느냐는 문제가 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국민 여론조사만으로 할지, 당원투표도 할지부터 국민여론조사에 역선택 방지 조항을 넣느냐 마느냐에 따라 후보 당락이 확 갈린다”고 말했다.

당이 후보를 교체할 수 있다는 주장에도 반박이 나온다. 김 후보가 자진 사퇴하지 않은 상황에서 한 전 총리를 새 후보로 지명할 경우 사실상 후보가 두 명이 될 수 있다는 것. 국민의힘 나경원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당헌당규에 후보자 교체는 없다. 당헌당규에 어긋나는 방법으로 후보를 교체하는 건 공당의 모습을 훼손하는 것”이라고 했다.

당 일각에서는 김 후보가 후보 교체에 불복해 가처분 신청 등 법적 대응에 나설 거란 우려가 나온다. 만약 법원이 김 후보의 가처분을 인용하면 김 후보가 복귀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무리하게 단일화를 밀어붙이다가 후보를 내지 못할 상황이 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윤상현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강제적으로 (단일화)하면 법적인 공방에 나락으로 떨어질 것”이라고 했다.

김문수 캠프 측은 이날 후보 교체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법적 대응을 시작했다. 김 후보를 지지하는 원외 당협위원장 8명은 서울남부지법에 당 지도부의 11일 전당대회 개최 중단을 요구하는 가처분 신청을 냈다. 이들은 캠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절차적 정당성과 민주주의 원칙을 명백히 훼손하며 무리하게 소집했다”며 “후보 지위까지 위협하는 행태”라고 주장했다.

조권형 기자 buzz@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