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 협상]
● 경제안보외교국 만들고 경제조직 통합, 재편
복수의 여권 고위 관계자에 따르면 외교부는 최근 국정기획위원회에 경제안보교섭본부를 새로 만들고 산하에 경제안보외교국을 신설하는 계획을 보고했다. 외교부 업무보고에는 경제안보외교국 내에 기존 양자경제외교국 내에 있는 경제안보외교과, 기후환경과학외교국 내 국제과학기술규범과와 올해 2월 신설된 국제인공지능외교과를 두는 방안을 포함했다. 또, 2차관 산하 경제외교 조직인 국제경제국, 양자경제외교국과 과학기술 업무를 제외한 기후환경외교국을 확대해 경제안보교섭본부에 편입하는 계획도 함께 보고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기획위는 이를 바탕으로 각계 의견을 수렴하고 내부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안보와 연계한 관세 조치를 취하고, 경제·안보 현안을 패키지로 묶는 등 경제와 안보가 분리될 수 없는 상황”이라며 “국가안보실이 사령탑 역할을 하되 외교부 내 총괄하는 조직이 필요하다는 입장이 공유됐다”고 설명했다.
● 19년 만에 본부급 조직 출범 추진… 경제안보 역량 강화 의지 달려
경제안보교섭본부가 출범하게 되면 외교부 내에 2006년 노무현 정부에서 대북 정책 기능 강화를 위해 한반도평화교섭본부를 신설한 이후 19년 만에 본부급 조직이 창설되는 것이다.
정권 출범 초기 외교부 조직 개편은 새 정부의 외교 역점 방향을 보여주는 지표로 해석된다. 문재인 정부는 대(對)중국 외교 수요에 힘입어 동북아국을 중국 업무 전담국으로 분리 신설했고, 윤석열 정부는 지난해 5월 한반도평화교섭본부를 폐지하며 대북 업무를 축소하고 외교 정보 분석 기능을 보강한 외교전략정보본부로 재편했다.
정부 관계자는 “공급망 다변화, 자원 비축, 대체 기술 개발 등 대내적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점에서 경제 부처의 우려가 있을 수 있다”며 “외교부 재외공관 정보망을 활용해 대외 충격 요인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국가안보실 3차장, AI수석실 등 정부 전반의 과학기술·경제안보외교 기능을 보좌하는 방식으로 경제 부처와의 협업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동아일보 단독 >
이런 구독물도 추천합니다!
-
한규섭 칼럼
-
정치를 부탁해
-
우아한 라운지
신나리 기자 journari@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