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51번째 주? 반미정서 들끓는 ‘이 나라’ 도 부러워한 K방산

7 hours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위협 속에 캐나다가 한국의 방산 능력에 주목하고 있으며, CBC는 한국을 새로운 군수품 공급국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특히 한국의 K-9 자주포와 관련해 신속한 물품 공급이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캐나다의 방산 시장에 한국의 군사 장비 도입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러한 흐름은 캐나다가 미국 의존도를 줄이고 다른 동맹과의 관계를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이는 가운데 발생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으로부터 ‘51번째 주 편입’ 위협을 받으며 수모를 겪은 캐나다가 국방력 증강을 모색하는 가운데 캐나다 주요 언론매체에서 한국의 방산 능력을 집중 조명해 눈길을 끈다.

카타르 알 칼라엘 훈련장 사막에서 기동하는 K9 자주포. 육군

카타르 알 칼라엘 훈련장 사막에서 기동하는 K9 자주포. 육군

캐나다 최대 TV 방송인 CBC는 4일(현지시간) ‘한국, 캐나다의 새로운 군수품 공급국이 되길 원한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한국의 주요 방산기업 현장 취재를 통해 자주포와 잠수함 등 한국산 무기 도입 가능성을 타진했다.

보도에 따르면 캐나다는 ‘구매 리스트’에 기동력을 갖춘 무기류를 올려놓고 관련 전력 확보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기동력을 갖춘 무기류가 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 ‘현대 군대에서 필수적’ 임이 입증됐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주목한 것이 한국의 ‘명품 자주포’인 K-9이다.

CBC는 “누군가는 한국을 민주주의의 새로운 무기고라고 부르기 시작했다”면서 K-방산의 ‘대표 상품’인 K-9 자주포를 소개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CBC 인터뷰에서 “우리는 계약 후 12개월 이내에 K-9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면서 “우리는 이미 잘 준비돼 있기 때문”이라며 신속한 물품 공급을 장점으로 내세웠다.

CBC는 또 그동안 함정 수출 사업을 놓고 경쟁해온 국내의 ‘양강’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이 한국 방산 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손을 맞잡았다는 점도 짚었다.

특히 CBC는 캐나다 국방부 관계자를 인용, 여러 유럽 국가가 캐나다에 잠수함을 판매하기 위해 의향을 드러낸 상황에서 한국 측은 “소요 예산, 납품 기일, 유지 보수 및 승무원 훈련 지원” 등 측면에서 한발짝 더 나아간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고 전했다.

예컨대 캐나다는 2035년까지 새로운 첫 잠수함을 도입할 계획을 세웠는데, 한국은 “최고 수준의 제조 기술을 통해 그때까지 4대를 만들어 보낼 수 있다”고 피력했다고 한다.

캐나다 외교안보 분야 유력 싱크탱크인 CGAI(캐나다글로벌문제연구소·Canada Global Affairs Institute)의 데이브 페리는 “캐나다 군대의 경우 작전 준비 태세에 심각한 결함이 있는 만큼 최소한 일부 필수 전력 획득 요구 사항을 신속하게 충족할 수 있는 옵션을 찾아야 한다”고 제언했다.

CBC는 한국의 방위산업 분야가 과거엔 시장에서 그리 큰 명성을 확보하지는 못했지만, 호주·폴란드 등과의 계약을 통해 상황이 바뀌었다며 최근 글로벌 방산업계에서 급부상하고 있는 K-방산을 재평가했다.

조현기 국방부 자원관리실장은 CBC 인터뷰에서 “(방산 분야 협력은) 한국과 캐나다 간 양자관계 발전의 계기로 삼을 수 있다”면서 “양국 간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라는 시너지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CBC의 이번 보도는 그동안 안보 분야에서 전적으로 미국에 의존하며 미국산 무기로 무장해왔던 캐나다에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잇단 막말로 반미정서가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나와 주목된다.

앞서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도발적 언행을 일삼는 트럼프 대통령을 향해 “경제통합과 굳건한 안보·군사협력 심화에 근거해온 미국과의 구연은 끝났다”고 선언했다. 또 그는 최근 승리한 조기총선 유세과정에선 미국에 대한 의존을 줄이고, 다른 동맹과의 관계를 강화하겠다고 약속하기도 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1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