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처럼 마라톤 뛴 로봇, 하프코스 2시간대 골인

1 week ago 10

中서 세계 첫 휴머노이드 경주
배터리 3번 갈아끼며 두발로 달려
출전 21대중 6대만 하프코스 완주
극한상황 데이터로 기술력 축적

19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휴머노이드 로봇’ 하프마라톤 대회에서 1위를 차지한 ‘톈궁 울트라’가 2시간 40분 42초의 기록으로 결승선을 통과하고 있다. 베이징=신화 뉴시스

19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휴머노이드 로봇’ 하프마라톤 대회에서 1위를 차지한 ‘톈궁 울트라’가 2시간 40분 42초의 기록으로 결승선을 통과하고 있다. 베이징=신화 뉴시스
2시간 40분 42초.

19일 중국 베이징에서 세계 최초로 ‘휴머노이드 로봇’ 하프 마라톤 대회에서 1위를 차지한 베이징휴머노이드로봇혁신센터의 로봇 ‘톈궁 울트라’의 기록이다.

180cm, 52kg의 ‘톈궁 울트라’는 이날 함께 달린 남자 선수의 우승 기록(1시간 2분)에는 훨씬 못 미치지만 본체 교체 없이 배터리만 3차례 갈아 끼우고 21.0975km 전 구간을 달렸다. 오르막과 좌우로 꺾어진 길 등도 무리 없이 달렸다.

이번 대회에는 중국 기업들이 개발 및 생산한 이족 보행 로봇 총 21대가 출전했다. 주최 측은 참가 로봇들을 위해 곳곳에 배터리 교체 공간을 설치했다. 레이스 도중 로봇 본체를 교체하면 최종 기록에서 10분을 추가하는 규정도 마련했다. 다만 9000여 명 참가자들의 안전을 위해 로봇과 사람이 뛰는 공간은 분리해 마라톤을 진행했다.

2위를 차지한 쑹옌(鬆延)동력의 ‘N2로봇’은 사람 못지않게 안정적인 자세로 달려 큰 주목을 받았다. 다만 ‘텐궁 울트라’와 ‘N2로봇’을 제외하면 나머지 19개 로봇의 달리기 실력은 기술력의 격차가 확연히 느껴졌다. 19개 로봇은 주최 측이 교통 지체 등을 고려해 설정해 놓은 완주 제한 시간인 3시간 30분을 지키지 못했다.

특히 올해 ‘춘제(중국 설)’ 갈라쇼에서 화려한 군무를 선보여 주목을 받았던 유니트리의 최신형 로봇 ‘G1’은 출발선을 지나자마자 땅에 고꾸라졌다. 1분 넘게 바닥에서 누운 채 일어나지 않아 회사 관계자들을 애태웠다. 항공 동력 시스템을 탑재했다는 선눙(神農)로봇은 출발 1분 만에 방향을 잃고 뱅뱅 돌았다. 결국 구조물에 부딪쳐 산산조각 났다. 이날 완주에 성공한 로봇은 6대(28.6%)에 불과했다.

이날 대회는 중국의 로봇 기술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키는 계기가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마라톤은 사람뿐 아니라 로봇에게도 극한의 경험이다. 2시간 넘게 달리다 보면 부품에 피로도가 쌓이고, 제한된 배터리 용량을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이에 따라 로봇 업계에선, 마라톤 대회는 로봇이 얼마나 지속 가능하게 작동할 수 있는지를 테스트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여긴다. 일종의 ‘테스트베드’라는 것. 탕젠 베이징 로봇 센터 총괄기술책임자는 “사람들은 로봇이 24시간, 일주일 내내 고장 없이 일하기를 기대하는데, 마라톤은 이런 한계를 시험하는 기회”라고 말했다. 실제로 로봇 기업들은 이번 대회를 준비하고 실제 참여하는 과정에서 얻은 데이터들이 향후 기술 개발에 소중한 자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당국의 적극적인 지원도 중국의 ‘로봇 굴기(堀起)’를 뒷받침하는 핵심 요소로 꼽힌다. 무엇보다 주요 기업이 받는 보조금과 인센티브 또한 상당한 수준이다. 기술 발전에 꼭 필요한 데이터 수집, 개인정보에 관한 규제 또한 서구 선진국에 비해 적은 편이란 것도 중국 기업의 ‘홈어드밴티지’다. 미국의 반도체·인공지능(AI) 연구기관 ‘세미어낼리시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중국이 전기차 산업에서 이룬 성과를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에서도 재현할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베이징=김철중 특파원 tnf@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