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의약품·의료용마약류 사망 80%
서미화 “보건당국 오남용 대책 필요”
2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0년부터 작년까지 약물 급성 중독으로 사망한 사람은 총 111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매년 평균 220여명, 약 1.6일마다 1명이 목숨을 잃는 수준이다. 약물 중독 사망 현황 집계에 따르면 여성은 596명(53.7%), 남성이 514명(46.3%)이다.
연령대별로는 40~50대 243명(21.9%)으로 가장 많다. 이어 30대 191명(17.2%), 60대 150명(13.5%), 20대 145명(13.1%) 순으로 많았다. 0~10대도 16명의 사망자가 있었다.불법 마약이 아닌 전문의약품과 의료용마약류로 인한 사망이 80% 이상을 차지했다.
약물 유형별로 ▲전문의약품 1399건(50.5%) ▲의료용마약류 925건(33.4%) ▲일반의약품 256건(9.2%) ▲불법마약류 188건(6.8%)으로 집계됐다.
약물 종류별로는 ▲최면진정제 740건(28.7%) ▲항우울제 614건(23.8%) ▲항정신병약 349건(13.5%) ▲항불안제 236건(9.1%) ▲비마약성진통제 129건(5.0%) ▲항경련제 100건(3.9%) ▲마약성진통제 69건(2.7%) 등이다.서 의원은 “약물중독 사망은 특정 집단이 겪는 문제가 아니라, 일상에서 접하는 의약품을 오남용해도 발생할 수 있다”며 “보건의료 당국은 의약품 처방·복용 관리 강화, 약물 오남용에 대한 대국민 교육 등 국민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종합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서울=뉴시스]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