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장 열흘의 추석 황금연휴가 다가오는 가운데 명절 풍경이 달라지고 모양새다. 차례나 성묘 대신 조부모, 부모, 아이가 함께 떠나는 ‘다세대 가족여행’이 새로운 명절 트렌드로 자리 잡으면서다.
22일 호텔스닷컴에 따르면 올해 추석 연휴 여행 수요의 약 60%가 가족·단체 여행으로 집계됐다. 이는 연간 평균치(35%)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명절을 가족과 함께 보내려는 전통적 가치는 남아있지만, 장소가 집이 아닌 여행지로 옮겨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셈이다.
이 기간 커플 여행의 수요는 65%, 나홀로 여행은 5%로 나타났다.
연휴를 미리 계획한 여행객들은 긴 연휴를 활용해 장거리 여행을 주로 예약했다. 그러나 9월 초 여행 수요는 단거리 및 국내 여행 비중이 높았다.
실제 추석 연휴 막바지 해외여행 검색량을 이끄는 지역은 일본으로 지난 8월 12~25일, 9월 2~15일을 비교한 결과 후쿠오카 검색량은 60%, 구마모토는 35% 증가했다. 같은 기간 베트남 호이안도 50% 늘었고, 홍콩(35%), 타이베이(15%) 등도 상승세를 보였다.
국내에서는 서울(100%), 경상(75%), 부산(75%), 강원(40%)의 검색량이 크게 뛰었다.
주요 여행지는 여러 세대가 함께 즐길 수 있는 휴양지가 중심이다. 일본 규슈 중앙에 위치한 구마모토는 풍부한 문화유산과 가족 친화적 매력을 동시에 갖춘 여행지다. 베트남 호이안 역시 따뜻한 날씨와 다양한 문화유산, 리조트형 휴양이 결합해 인기를 끌었다.
국내에서는 단풍과 온천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강원, 해안 산책과 리조트 문화가 어우러진 부산에 주목도가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