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청, 차세대 발사체 재사용화 추진했으나 첫 행정절차서 불발
“누리호 제작 일감도 이제 없어…추가 발사 방향성 알려달라”
이 경우 우주청 등이 제조 용역비를 신속히 집행할 수 없게 된다. 한화에어로와 같은 대기업이라면 사업비 지급이 늦어져도 버틸 수 있지만 상당수가 영세한 우주 부품 기업들은 어려울 거란 지적이다.
27일 우주업계에 따르면 차세대 발사체의 체계종합 용역비는 올해 들어서도 아직 거의 집행되지 못했다. 체계종합 용역비는 전체 사업비 2조 원 중 절반가량인 약 9505억 원이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개념 설계 단계를 지나 올해 시스템 설계가 이뤄질 예정이었다. 말단 부품의 설계·제작 등이 가능해 사업비 지급을 기대했다”고 설명했다.이어 “하지만 우주항공청이 사업 변경을 추진하면서 설계 확정이 요원해졌다. 4월이 끝나가는데 올해분 계약이 계속 보류 중이다”며 한숨을 쉬었다.
당초 사업은 2022년 등유(케로신) 엔진 기반의 소모성 발사체 개발로 내용이 확정됐다. 지난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외청으로 출범한 우주항공청은 이 사업을 이어받은 뒤, 올해 재사용 발사체로의 전환을 추진했다.
재사용 발사는 발사체 전체 비용의 70%를 차지하는 1단을 재사용하는 개념이다. 발사 단가가 소모성 발사체보다 크게 저렴하다. 우주 개발 수익성 개선이 목표인 우주청으로선 기술을 포기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예비타당성 조사(예타)로 확정된 사업을 변경하려다 보니 과학기술혁신본부 특정평가 등 절차가 필요했다. 하지만 최근 과기혁신본부는 이같은 변경 요청을 반려했다.우주청 요청은 사업 근간을 바꾸는 성격인 데다, 원 예산의 15% 이상 증액이 우려되기 때문에 과기혁신본부 차원에서 결정이 어렵단 설명이다. 기획재정부의 사업 적정성 재검토를 받는 방법만이 남았다.
다만 기재부 검토는 예타에 준하는 고강도 절차기 때문에 보통 수개월 이상 소요된다. 사업의 빠른 착수를 바라는 체계종합 참여 기업들이 우려하는 대목이다.
이 밖에도 업계는 누리호 6차 발사 후 추가발사 물량이 확정되지 않은 점도 꼬집었다. 6차 발사까지 쓰일 발사체 3대분의 부품을 거의 생산했기 때문에 현재 관련 일감이 없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우주청 내부 태스크포스(TF)가 추가발사 계획을 논의 중이나, 민간기업은 참여하지 못해 방향성을 알기 어렵다”며 “발사 대가 등을 확정해 줘야 기업도 투자에 나설 수 있다”고 말했다.
우주청 관계자는 “차세대 발사체 변경으로 인한 업계 우려는 이해한다”며 “변경과 관계없는 부품 제작은 기재부와 협의되면 착수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이어 “누리호 추가 발사부터는 한화에어로가 사업 주체기 때문에 한화에어로가 기술 이전을 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