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가 연내 15개 점포를 폐점하겠다는 계획을 철회했다. 잠재적 인수자가 확정될 때까지는 폐점을 추진하지 않기로 했다. 정치권의 고용 보장 압박이 거세지자 이를 수용하는 모양새다.
19일 홈플러스는 서울 시흥, 가양, 경기 일산 등 15개 매장의 폐점 계획을 철회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오후 홈플러스 모회사인 MBK파트너스의 김병주 회장, 조주연 홈플러스 대표 등 회사 경영진과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회 소속 국회의원들이 비공개 면담한 이후 나온 결정이다.
홈플러스는 지난달 13일 68개 임대 점포 가운데 15곳을 폐점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회생절차 개시 이후 경영상 부담으로 임대 점포 건물주들에게 임차료를 40~50% 인하해 달라고 했으나 협상이 최종 결렬되자 폐점하기로 결정했다. 이 가운데 수원 원천, 인천 계산, 대구 동촌, 부산 장림, 울산 북구점 등은 11월 16일 문을 닫을 예정이었다.
폐점 계획이 나오자 홈플러스 노조는 고용을 보장하라며 반발했다. 정치권도 가세했다. 민주당은 지난 17일 ‘MBK 홈플러스 사태 해결 태스크포스(TF)’를 발족하고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홈플러스는 최근 잠재적 인수자 1곳과 협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이 MBK파트너스 측으로부터 홈플러스 점포 청산을 철회하겠다는 확약을 받아내긴 했지만, 총고용 승계 여부 등은 인수 협상 과정에서 틀어질 가능성이 남아 있다. 김남근 민주당 의원은 이날 “매각 협상을 진행 중인 MBK파트너스는 11월 10일께까지 매각 절차를 끝내야 한다”며 “매수인이 폐점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