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지방 살면 기상청 예보 더 못 믿어요”…관측장비, 수도권 보다 3.3배 부족

3 hours ago 5

정치

[단독] “지방 살면 기상청 예보 더 못 믿어요”…관측장비, 수도권 보다 3.3배 부족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도권에는 자동기상관측장비(AWS)가 집중 설치된 반면, 지방은 장비가 부족해 최대 3.3배 차이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기상 예보의 부정확성으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강득구 의원에 따르면, 충북의 관측망 조밀도는 15km로, 서울·경기의 10.4km와 비교해 현저히 낮고, 부산·경남은 평균보다 높은 조밀도를 기록하고 있다.

기상청은 2030년까지 평균 조밀도를 9.8km로 유지할 계획이지만, 현 시점에서 장비 운영과 관리 개선이 더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기상관측장비 수도권 집중, 서울과 충북 3.3배 격차
장비 고장도 2024년 600건으로 3년 새 82% 증가

강득구 민주당 의원

강득구 민주당 의원

수도권에 자동기상관측장비(AWS)가 집중 설치돼 있는 반면, 충북 등 지방은 장비가 턱없이 부족해 최대 3.3배 격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은 장비 수가 적은 데다 조밀도 관리마저 비효율적으로 이뤄져 부정확한 예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관측장비 조밀도 수치가 낮을수록 장비 간 거리가 가까워져 기상관측 정확도는 높아진다.

23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기상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5년 기준 서울·경기의 관측망 조밀도는 10.4km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반면 충북은 장비가 33대에 불과해 조밀도 역시 15km로 한참 뒤처졌다. 부산·경남은 83대가 설치돼 조밀도 12.2km로 전국 평균(12.4km)보다 촘촘했다. 이처럼 지역별 격차와 불균형이 뚜렷했다.

이런 조밀도 격차는 지방과 수도권 사이 기상관측 정확도의 차이를 낳을 수 있고, 특히 국지성 호우나 예측 불가능한 기상이변이 잦아지는 현실에서 국민 안전에 직접적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관측망 조밀도에 관한 명확한 법적 기준과 관리 체계가 부족해 단순 장비 대수만으로는 효율적 관측이 이뤄지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실제 대구·경북은 82대가 설치됐음에도 조밀도가 15.6km로, 충북(33대)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여기에 장비 고장 문제까지 겹친다. 자동기상관측장비 고장 건수는 2021년 330건에서 2024년 600건으로 3년 새 82% 급증했다. 최근 4년간 누적 고장은 1856건에 달했으며, 올해 들어서도 8월까지 이미 361건이 발생했다.

강득구 의원은 “예측 불가능한 기상이변이 갈수록 잦아지는 상황에서 자동기상관측장비의 고장은 증가하고, 지역별 격차까지 존재한다면 기상청의 정확한 예보와 기후재난 대비에 심각한 한계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며 “철저한 원인 분석과 체계적인 보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기상청은 “2030년까지 전국 평균 조밀도를 9.8km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지만, 불규칙한 강우와 기상이변이 잦아지는 만큼 장비 운영·관리 개선책이 더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사 속 관련 종목

  • LIG넥스원

    079550, KOSPI

    502,000 + 1.21%
  • 휴림로봇

    090710, KOSDAQ

    3,495 - 1.13%
  • 삼성에스디에스

    018260, KOSPI

    168,900 + 2.67%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