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관측장비 수도권 집중, 서울과 충북 3.3배 격차
장비 고장도 2024년 600건으로 3년 새 82% 증가
수도권에 자동기상관측장비(AWS)가 집중 설치돼 있는 반면, 충북 등 지방은 장비가 턱없이 부족해 최대 3.3배 격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은 장비 수가 적은 데다 조밀도 관리마저 비효율적으로 이뤄져 부정확한 예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관측장비 조밀도 수치가 낮을수록 장비 간 거리가 가까워져 기상관측 정확도는 높아진다.
23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기상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5년 기준 서울·경기의 관측망 조밀도는 10.4km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반면 충북은 장비가 33대에 불과해 조밀도 역시 15km로 한참 뒤처졌다. 부산·경남은 83대가 설치돼 조밀도 12.2km로 전국 평균(12.4km)보다 촘촘했다. 이처럼 지역별 격차와 불균형이 뚜렷했다.
이런 조밀도 격차는 지방과 수도권 사이 기상관측 정확도의 차이를 낳을 수 있고, 특히 국지성 호우나 예측 불가능한 기상이변이 잦아지는 현실에서 국민 안전에 직접적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관측망 조밀도에 관한 명확한 법적 기준과 관리 체계가 부족해 단순 장비 대수만으로는 효율적 관측이 이뤄지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실제 대구·경북은 82대가 설치됐음에도 조밀도가 15.6km로, 충북(33대)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여기에 장비 고장 문제까지 겹친다. 자동기상관측장비 고장 건수는 2021년 330건에서 2024년 600건으로 3년 새 82% 급증했다. 최근 4년간 누적 고장은 1856건에 달했으며, 올해 들어서도 8월까지 이미 361건이 발생했다.
강득구 의원은 “예측 불가능한 기상이변이 갈수록 잦아지는 상황에서 자동기상관측장비의 고장은 증가하고, 지역별 격차까지 존재한다면 기상청의 정확한 예보와 기후재난 대비에 심각한 한계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며 “철저한 원인 분석과 체계적인 보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기상청은 “2030년까지 전국 평균 조밀도를 9.8km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지만, 불규칙한 강우와 기상이변이 잦아지는 만큼 장비 운영·관리 개선책이 더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