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인 이어 ‘일반인 사칭’ 주의보
가짜 자격증 내세워 수억대 사기… 지역 맘카페 사칭, 금품 요구도
“AI로 얼굴 합성해 감쪽같이 속여… 경찰 신고후 주변에 적극 알려야”
그런데 황 씨의 사연이 알려지자 누군가 그를 사칭해 “아들 일 때문에 힘들다. 후원을 해달라”는 내용의 텔레그램과 문자메시지를 사람들에게 퍼뜨렸다. 황 씨는 “모르는 번호로 ‘무슨 일이냐’는 연락이 자꾸 왔다. 당황스러웠다”고 토로했다. 황 씨는 지난달 17일 대구북부경찰서에 사칭 사기가 발생했다고 신고했고 경찰이 수사 중이다.
과거 유명 연예인, 기업인, 정치인 등을 사칭한 투자 유도 사기가 기승을 부렸다면, 최근에는 황 씨처럼 이름이나 사연이 알려진 일반인을 사칭한 사기가 부쩍 늘고 있다.
● 방송 출연한 일반인 사칭해 사기가장 빈번한 일반인 사칭 사기 유형은 ‘투자 전문가’를 사칭해 접근한 뒤 돈을 뜯어내는 것이다. 경남 일대에서 2021년 3월부터 2023년 5월까지 유명 가상자산 거래소 투자자 등을 사칭해 193명으로부터 31억 원을 뜯어낸 투자 사기 일당 76명이 2023년 12월경 경찰에 체포됐다. 지난해 3월에는 김영익 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의 친인척을 사칭해 피해자들을 투자 리딩방으로 유인한 뒤 수억 원을 가로챈 사건도 있었다.
유명 온라인 커뮤니티 운영진을 사칭하는 경우도 있다. 2023년 3월 강원 원주시에서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맘카페 운영진’을 사칭한 사기도 있었다. 이들은 원주 시내 식당과 학원 등 자영업자들에게 접근해 ‘홍보해 주겠다’며 금전을 요구했다. ● 수사기관 “유명인 사칭 접근 일단 의심해야”전문가들은 상대방이 온라인에서 자신을 전문가, 유명인 등이라고 소개할 땐 소속 기관 대표 번호로 전화해 사실인지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과도하게 높은 수익률을 보장한다는 투자 권유는 특히 의심해야 한다. 특히 상대방이 보낸 문자메시지에 인터넷주소 링크가 있으면 절대로 누르면 안 된다. 휴대전화를 해킹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누군가 나를 사칭해 사기를 벌인 사실을 알게 됐을 땐 우선 사건을 빠른 시일 내에 경찰에 신고해야 한다. 피해가 확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사용 중인 SNS에 일정 기간 ‘내가 돈을 요구하면 사기입니다’ 등의 문구를 내걸어 주변에 미리 알리는 것도 피해를 막는 방법 중 하나다. 경찰 관계자는 “사칭을 당한 경우에는 해당 사실을 알게 되는 즉시 경찰 등 수사기관에 신고하고, 자신의 SNS 등을 통해 피해 사실을 알리는 방식으로 추가 범행을 막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채완 기자 chaewani@donga.com
이수연 기자 lotus@donga.com
최원영 기자 o0@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