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불청객으로 떠오른 붉은등우단털파리(러브버그)가 최근 급격히 사라졌지만, 내년을 대비해 철저한 방역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러브버그는 사라졌지만… 토양 속 유충이 내년 다시 출현 가능성
최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러브버그 발생 양상을 예측 모델로 분석한 결과 지난 1일 기준 전체 활동의 약 86%가 진행된 것으로 예측돼 7~10일 이내 대부분의 개체가 자연 소멸할 것으로 전망했다.
러브버그 성충은 통상 6~7월에 등장해 일주일 정도 활동한 후 사라지지만 문제는 내년이다. 러브버그의 성충이 이미 수많은 알을 낳고 죽었기 때문이다.
국립생물자원관에 따르면 러브버그 암컷 한 마리가 낳는 알은 300~500개 수준이며 부화 후 유충 상태로 약 1년간 산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올해 활동이 끝났다고 해도 내년 같은 시기에 다시 출현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기후변화 따른 해충 리스크… 방역·감시 체계 강화 시급
김민중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박사는 “지금은 성충이 사라졌지만 알이나 유충은 토양 속에서 생존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며 “올해 특정 기후나 토양 조건이 러브버그 생존율을 높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장기적인 관찰과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환경부는 과거 사례들을 고려할 때 7월 이후에도 러브버그 이외에도 대벌레, 동양하루살이, 깔따구, 미국선녀벌레 등 다른 곤충이 언제든 대거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2025 러브버그 타임라인2025 러브버그 타임라인 🪲
1. 6월 초 – 이상 조짐
6월 2일: 러브버그 국내 첫 출현. 작년보다 2주 빠르며 기후변화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됨.
2. 6월 중순~말 – 폭발적 증식
서울·경기·인천 일대 공원 및 도심에서 민원 폭증. SNS에 “문 열기 무섭다”는 반응 다수.
3. 6월 말~7월 초 – 절정
매일경제신문 등 외신 보도. 계양산 등 러브버그로 뒤덮인 영상 공유됨.
4. 7월 초 – 정부·지자체 대응
환경부는 AI 기반 방제 시스템 구축 추진. 살충제보다 친환경 방제를 권장 (물 분사, 빛 차단 등).
5. 7월 중순 – 자연 감소
7월 14일 기준: 성충 활동기 종료. 민원 급감. 일부 잔류 개체만 존재.
✅ 요약 표
출현 시기 | 6월 초~7월 중순 |
피해 유형 | 차량 부식, 시각 불쾌감 |
생태적 역할 | 유기물 분해 |
방제 방법 | 물 분사, 트랩 등 |
🎥 MBN 영상 보기
이에 환경부는 24시간 가동하는 비상대응대책반을 운영해 대발생 상황 초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국민 피해를 최소화할 계획이다.